[경제] '일도 구직도 안하는' 대졸 400만…"역대 …

본문

17215319742166.jpg

청년층 취업. 연합뉴스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대졸자가 올해 상반기 4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대졸 이상(전문대 포함)의 학력을 가진 비경제활동인구는 405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만2000명 늘었다. 1999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로 상반기 기준 가장 많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들이다. 일할 능력이 없거나 일할 수 있음에도 일할 뜻이 없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다.

구직시장을 떠난 이유는 육아·가사·연로·심신장애 등 다양하다.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취업을 포기한 구직 단념자나 고용 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경우도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최근 전체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인 2021년 상반기(404만8000명) 처음 400만명을 넘어선 뒤 이듬해 큰 폭(-13만6000명)으로 줄었지만 다시 2년째 늘고 있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인구는 상반기 기준으로 2022년 이후 3년째 줄고 있다.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비경제활동인구가 가파르게 늘면서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대졸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25.1%를 기록해 처음 25%를 넘어섰다. 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 4명 중 1명 이상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졌다는 뜻이다.

대졸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20대가 주도하고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대졸 이상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59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00명 늘었다.

이들은 구직시장을 떠나기 전 도소매·사업시설 관리 등 업종에서 주로 일했고 직업군·종사상지위 기준으로는 사무직·단순노무직·임시직 비중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문가나 기술이 있는 고학력자는 일자리를 잃어도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지지 않고 구직 시장에 남아 실업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적으로 질이 나쁜 일자리에 있던 고학력자일수록 구직을 포기하거나 재교육 등을 위해 구직 활동을 접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청년·고학력자 중심의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결국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학력자 중심의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는 결국 저학력자보다 고학력자의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하고 그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8,60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