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용률과 취업시장 괴리…'긱워커'와 &apos…

본문

17217264548152.jpg

지난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서점에 취업서적들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 대학 졸업 후 2년째 취업 준비를 하는 김모(28)씨는 생활비를 벌기 위해 월·수·금 오전 9~12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열 군데 이상 서류를 썼지만, 최종 합격을 하지 못해 하반기 공채를 준비 중이다. 김씨는 “눈을 낮춰야 하나 싶다가도 대기업 취업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라며 “하반기에도 실패하면 대학원에 진학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최근 고용률이 역대 최고 수준을 이어가고 있지만,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취업 시장에선 고용 훈풍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통계상으로는 김씨와 같은 알바생도 취업자로 분류해 고용 착시가 나타나고 있는 데다, 일자리를 구한다고 해도 양질의 일자리보다 단순노동·저임금 일자리가 늘고 있어서다.

1시간만 일해도 취업자로 분류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용률은 2014년 60.5%에서 코로나19가 닥친 2020년 60.1%로 떨어졌지만 2022년 62.1%, 2023년 62.6%로 고공행진 중이다. 올해 월별 고용률을 보면 지난달 63.5%를 기록, 1982년 7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같은 달 기준 가장 높았다.

하지만 여기엔 취업자 통계 방식의 허점이 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 수로 집계되는데 통계청은 조사를 진행한 주에 수입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모든 사람을 ‘취업자’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김씨의 경우도 스스로는 ‘취업준비생’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통계상으로는 ‘취업자’로 분류된다.

초단기 근로자 증가, 고용 착시 확대

17217264549543.jpg

신재민 기자

이른바 ‘긱워커(Gig Worker)’라고 불리는 초단기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는 점도 고용 착시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긱워커는 단기일자리 긱(gig)과 근로자를 의미하는 워커(worker)의 합성어로 배달 라이더처럼 직장에 매이지 않고 짧게 여러 가지 일을 하는 임시노동자를 말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주당 15시간 미만 일한 초단시간 근로자는 170만1000명으로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체 취업자 중 초단시간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9년 6월 4.9%에서 지난달 5.9%로 증가 추세다.

정부의 공공 일자리 사업 증가로 인해 고령층이 단기 일자리 증가를 견인한 측면이 있지만 20대·30대 사이에서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2030 초단시간 근로자는 약 40만명으로 팬데믹 때인 2021년(6월 기준) 41만명을 기록한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청년층에서 단기 일자리가 증가하는 원인으로 크게 두 가지를 꼽았다. 수요 측면에선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인상으로 쪼개기 알바 채용이 늘어나고 있는 점, 공급 측면에선 취업 준비가 장기화하면서 생계유지를 위해 단기 일자리를 구하는 이들이 늘어난 점이다. 이 교수는 “일자리는 안정성·지속성을 담보해야 한다. 그때그때 쓰고 버리는 형태의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고용 불안정성이 커진다는 것”이라며 “거품을 제거하고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순노동·저임금 일자리↑

17217264550992.jpg

차준홍 기자

고용 착시가 커진 또 다른 요인으로는 단순노동·저임금 중심의 이른바 ‘스몰잡(작은 일자리)’이 늘어난 점이 지목된다. 2014년과 지난해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비교하면 직업 대분류 9가지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건 서비스 종사자(283만3000명→349만9000명, 23.5%)다. 해당 직군 안에선 고령층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돌봄·보건 관련 종사자가 75만8000명→115만1000명(51.8%)으로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단순노무 종사자도 10년 새 19.5% 늘어나면서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위)·관리자(3위)와 비등한 증가세를 보였다. 단순노무직 안에선 청소 및 환경미화원(64%)·하역 및 적재(54.7%)·배달원(31.5%) 등이 크게 증가했다. 한마디로 고용의 질이 떨어지는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단지 숫자에 매몰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자리가 없는 것보단 있는 게 낫지만 제대로 된 일자리가 만들어져야 한다”라며 “대기업의 경우 보수가 지나치게 높아 신입 채용을 망설이는 부분이 큰데 보수를 조정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18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