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韓 총인구 3년만에 '플러스'…내국인 10만 줄고 외국인 18만…

본문

17222413238583.jpg

지난해 한국 총인구가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내국인은 여전히 줄고 있지만, 고용허가제(E-9) 확대 등으로 외국인이 더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1인 가구의 비중은 또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한국의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2000명(0.2%) 늘었다. 지난해 내국인은 전년 대비 10만1000명(-0.2%) 줄었지만, 하지만 외국인은 18만3000명(10.4%) 늘어나면서 전체 인구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외국인 인구 증가폭은 현재 방식으로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대치다.

이는 최근 고용허가제 확대로 외국인 유입이 급격히 늘어난 영향이 크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 구인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고용허가제 도입 규모를 역대 최대인 12만명으로 뒀다. 국적별로 중국(한국계)가 53만2000명(27.5%)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베트남 24만7000명(12.8%), 중국 22만1000명(11.4%), 태국 19만1000명(9.9%) 순으로 이어졌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3개월 이상 국내 체류를 했거나 3개월 이상 체류할 목적으로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은 코로나 때 감소하다가 지난해 큰 폭으로 늘었다”며 “고용허가제 규모가 대폭 늘어나는 등 외국인력 도입의 영향이 인구에서도 포착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경제를 떠받치는 핵심 생산 인력은 여전히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54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14만명 감소했다. 2018년 이후 6년 연속 감소세다. 유소년인구(0~14세)도 같은 기간 586만명에서 561만9000명으로 24만1000명 줄었다.

반면 고령인구(65세 이상)은 46만2000명 증가한 960만9000명을 기록했고,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7%에서 18.6%로 0.9%포인트 늘었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도 전년 대비 14.9 늘어난 171으로 집계됐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374만4000 가구)는 17%를 차지했고 이 가운데 고령자 1인 가구(213만8000 가구)를 추리면 전체 일반 가구 중 비율은 9.7%로 나타났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82만9000가구로, 1년 전보다 32만7000가구 늘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대비 1%포인트 늘어난 35.5%를 기록했다. 모두 역대 최대치다. 결혼은 줄어드는 데 반해 고령화로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다만 증가율은 2020년 8.1%에서 2021년 7.9%, 2022년 4.7%, 지난해 4.4% 등으로 둔화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율은 20대 이하가 18.6%로 가장 높다. 60대와 30대가 17.3%씩으로 나타나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경우 30대가 2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 이하(18.7%), 50대(17.6%)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여자는 60대(18.6%)에서 비중이 가장 컸다. 20대 이하(18.4%)가 비슷한 비중이었고 70대(15.2%)가 뒤를 이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40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