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기차 포비아’에…“내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는” 인증 요구 봇물

본문

17229277580114.jpg

지난 5일 오후 인천 서구 청라동 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 현장에서 합동 감식을 마친 경찰이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를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로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확산하며 배터리 안전성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배터리 인증제와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소비자 선택권’이 부상할 것이라는 업계의 전망이 나왔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신차 출시 당시 차량 크기를 비롯해 최대토크, 전비 등 상세 제원을 소개하지만 정작 중요한 배터리 정보는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다.

전기차 배터리는 사실상 전기차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배터리 가격이 전기차 차량 가격의 절반 가량을 차지할 정도라, 전기차 제조업체보다 배터리 제조업체의 기술력이 더 결정적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지난해 벤츠 전기차를 구매한 직장인 A씨는 아파트 단지 내 일부 주민이 단체 대화방에 “지하 주차장에 전기차 주차를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해 마음이 썩 편하지 않다. A씨는 “환경을 생각해서 비싼 전기차를 샀는데 이제는 전기차를 탄다는 이유로 잠재적인 가해자 취급을 받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며 “배터리 제조사 인증을 하면 소비자나 주민 입장에서도 안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화재가 난 EQE의 벤츠코리아 고객센터에 따르면 벤츠 차주는 서비스센터에 직접 방문해야 배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한 전기차 차주가 자신의 차량 배터리 모델을 확인한 글을 올리자 “이런 정보는 어디서 찾아보느냐”며 다른 전기차 모델들의 배터리 정보를 요청하는 댓글이 잇따르기도 했다.

화재가 난 해당 EQE 차량의 경우 사고 초반에는 중국 1위 배터리업체인 CATL 제품이 탑재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 등에 확인한 결과 이번에 불이 난 전기차에는 중국 배터리 업체인 파라시스의 배터리가 탑재됐다. 파라시스는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매출과 출하량 기준 세계 10위 업체다. 이를 두고 “CATL조차도 아니었다”거나 “명색이 벤츠인데 부품이 죄다 중국산일 줄은 몰랐다” 등의 반응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ESG 소비자 선택권’이 주목받는 분위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OECD 다국적 기업 가이드라인’은 “기업은 소비자가 정보에 기초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검증 가능하고 명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며 ‘ESG 소비자 선택권’을 명시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 원산지나 제조회사의 출처를 숨기는 것은 소비자를 오도하는 등 불공정한 표시로서 지양해야 한다”며 “식별력이 낮은 상표 사용으로 화재, 폭발 등 사고가 발생한다면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인증 요구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토부는 내년 2월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제작사들이 전기차 배터리가 안전 기준에 적합한지를 국토부 장관의 인증을 받고 제작·판매하는 것이 배터리 인증제다.

국토부는 또 자동차 배터리 식별번호를 차량 등록 시 별도로 등록하도록 하고, 운행부터 폐차까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전기차 배터리의 최우선 순위는 ‘가격’보다는 ‘품질’이라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배터리 채택에 큰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2,17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