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병원들 다시 마스크 쓴다…코로나 입원환자 한달새 9배 폭증

본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 신규 입원 환자가 급증하면서 의료기관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대학병원에선 확진 직원을 격리하거나 마스크를 다시 착용하고 있다.

17235408485395.jpg

13일 서울시내 한 빌딩 입구에 코로나19재유행 대비 예방수칙 안내문이 붙여있다. 뉴스1

13일 질병관리청이 의료기관 220곳(표본 병원)의 코로나 입원환자를 집계해보니 이달 첫째 주 환자가 861명이었다. 올해 최다(2월 첫째 주 875명)와 비슷하다. 최근 들어 증가세가 가파르다. 7월 첫째 주 91명에서 한달 만에 861명으로 약 9배 늘었다.

질병관리청은 환기를 하지 않고 냉방을 계속하는 점이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한다. 여기에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새 변이 KP.3가 국내에 도는 점도 확산 요인이다. 다만 이 변이의 치명률이 계절 독감보다 낮은 0.1% 수준이어서 위험성은 낮다고 판단한다. 50세 미만의 치명률은 0.01% 정도다.

그래도 병원은 바짝 긴장한다. 중앙대 광명병원은 직원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면 사흘간 재택 격리한다. 삼성서울병원은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마스크 착용하고 손 씻기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할 것을 주문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이달 들어 면역저하자가 입원한 병동의 직원이 항상 마스크를 쓰도록 한다. 증상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검사해야 한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코로나19 환자 가운데 60세 이상 중증 환자가 꽤 늘었는데, 이들에게 처방하고 입원 서류를 작성하면서 바이러스를 옮길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코로나 진단키트·치료제 품귀 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코로나 환자가 폭증하면서 치료제 수요가 크게 늘었다”면서 “근본적으로 코로나 치료제 관련 수요와 공급의 괴리가 크게 생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노인 인구가 다수 거주하는 지역에서 치료제를 구하기 더 힘들다고 덧붙였다.

코로나 치료제 주간 사용량은 6월 넷째 주 1272명분에서 7월 마지막 주 4만2000명분으로 급증했다.세븐일레븐에 따르면 5~11일 코로나 19 자가검진키트 판매량이 전주보다 130% 늘었다.

정부는 이러한 현상을 “일시적”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5월 정부의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선언 이후 코로나가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진단키트와 치료제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홍정익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장은 13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생산을 늘리고 있어 큰 불편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17235408486857.jpg

13일 서울시내 한 약국에 코로나19 진단키트 입고 안내문이 붙여있다.뉴스1

고령 환자가 집중된 요양병원은 더욱 긴장한다. 서울의 한 요양병원장은 “치료제가 없어 일반 감기약을 처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요양병원에선 병실 여유가 있으면 격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치료제만 처방한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 재확산이 방학·휴가가 끝나는 이달 하순에 절정에 이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달 안에 치료제를 추가로 구매한다. 또 10월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65세 이상 고위험군 위주로 무료 접종한다. 홍정익 국장은 “젊은 사람은 호흡기 감염병처럼 쉬고 감기약 등으로 증상을 조절하면 되고, 고위험군은 치료제를 적극적으로 복용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코로나 유행 확산 Q&A

코로나 증상 의심되면 어떻게 할까
먼저 약국과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자가진단키트를 활용해 검사한다. 현재 대부분의 자가진단키트는 4000~8000원 사이다. 키트 검사 시 양성이 나오면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일반 내과나 이비인후과 등에서 코로나 19 검사가 가능하다. 하지만 일부 의원의 경우 검사하지 않으니 전화로 문의해보는 것이 좋다. PCR 검사 비용은 전액 본인 부담이다. 3만~4만원이다.
코로나 확진 판정받으면 치료는
=확진자에게는 기침, 발열, 두통 등 주요 증상 호전 후 24시간 격리를 권고한다. 확진자는 코로나 19 주요 증상이 호전된 후 하루 정도 경과를 살펴본 뒤 이상이 없으면 확진 5일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일상생활로 복귀하면 된다. 현재 60세 이상 환자나 고혈압·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는 치료제가 처방된다. 국내에는 베클루리(주사제)와 먹는 약 팍스로비드·라게브리오 등 3종이 있다.  
누가 특히 조심해야 할까
올해 코로나 19 입원환자 1만2407명 중 65세 이상이 8087명으로 65.2%이다. 유증상자 중 먹는 치료제 대상군(60세 이상, 12세 이상의 기저 질환자·면역저하자)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 씻기 등 예방 수칙을 지켜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중증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등이 부족한 의료취약지역소재 요양기관과 응급실 내원환자, 중환자실 입원환자에 대해서 신속항원검사(RAT) 비용(6000~9000원)을 종전처럼 지원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3,64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