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민 66% "미래 질병 위험에 정부 대처 못 해"…최대 위험 꼽은건

본문

17236056130539.jpg

서울 명동 거리에 시민들이 걷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국민 3명 중 2명은 미래의 질병 위험에 대한 정부 대처를 두고 '부정적' 평가를 했다. 질병 관련 위험 중에선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사회보장재정 부담 증가, 극단적 선택·청소년 우울 같은 정신건강 문제 악화가 가장 심각하다고 봤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난해 8월 19~65세 성인 1000명을 설문 조사한 내용이 담겼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 넘는 55.9%가 한국 사회에서 대응이 시급한 미래 질병 관련 위험(복수 응답)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재정 부담 증가'를 꼽았다. 그다음이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발생(44.9%), 다양한 갈등 해결과 건강한 관계 맺기(43.1%), 기후변화 대응 및 녹색성장(38.9%) 등의 순이었다.

특히 사회보장재정 문제는 청장년층(19~49세)·중년층(50~65세) 모두에서 1위로 꼽혔다. 중년층(63.1%)이 청장년층(51.3%)보다 상대적으로 심각하게 이 문제를 바라봤다. 반면 정신건강 문제는 청장년층(48.4%)이 중년층(39.5%)보다 더 시급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위험 요인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지만, 응답자의 66.4%는 정부가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국민 대부분이 현재보다 향후 5년 이내에 각종 문제의 심각성·중요성이 커질 거라고 응답한 것과 연결된다"고 밝혔다. 미래에 대한 낙관보다는 부정적 인식이 크다는 걸 보여주는 셈이다.

한편 국민은 질병을 포함한 사회 전체의 현재 위험 요인(복수 응답)으론 '불특정 다수를 향한 묻지마 범죄 증가'(5점 만점 중 3.42점)를 가장 많이 택했다.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3.41점),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3.41점), 사이버 범죄(3.4점)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향후 5년 내 위험 요인을 물었더니 1~2위가 자리바꿈을 했다.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3.59점)를 첫손에 꼽았고, 불특정 다수를 향한 묻지마 범죄 증가(3.56점)가 다음이었다. 지방 소멸과 지역 불균형(3.49점)도 미래에 더 심각해질 거란 인식이 많았다.

보고서는 "국민이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는 요인을 인지하고, 미래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 홍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3,8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