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초등 1학년 28만명, 방과 후 늘봄학교 간다…“대기 제로”

본문

17236236648172.jpg

지난 3월 서울 마포구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늘봄학교 축구 수업을 듣고 있다. 뉴스1

교육부가 올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늘봄학교는 윤석열 정부의 저출생 대응 정책으로 최대 오전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거나 돌보는 사업이다. 전면 도입에 따라 참여를 원하는 1학년 학생 28만명이 혜택을 받게 됐다.

2학기부터 전국 초등 1학년은 늘봄 ‘대기 제로’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늘봄학교 운영 준비상황 브리핑’을 열고 2학기부터 전국 6185개 초등학교와 178개 특수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전국 1학년 학생  34만8000명 중 2학기 늘봄학교를 희망한 28만명(80%) 전원이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다. 오석환 차관은 “올해 2학기를 기점으로 1학년 돌봄 대기가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대기 제로’ 학년을 내년 2학년, 2026년 3학년, 2027년 이후 전체 학년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7236236649605.jpg

오석환 교육부 차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2학기 늘봄학교 운영 준비 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뉴스1

늘어난 수요를 맞추기 위한 공간도 추가로 확보했다. 늘봄 과정을 운영하는 교실은 1학기 2만3720실에서 2학기 3만8197실로 늘어난다.

바닥 난방이 설치되거나 소파, 집기 등을 구비해 돌봄에 적합한 아동 친화적 교실도 늘린다. 지난 9일 기준 초1 교실 6485실이 아동 친화적 공간으로 개선됐고, 내년 2월까지 2945개실을 더 구축할 예정이다. 교실을 늘봄 겸용교실로 내 준 담임 교사들을 위한 교사연구실도 늘어난다. 각 교육청에서 신청한 4955개실 중 4453개실(89.9%)의 구축이 완료됐다. 나머지 502개실(전체 10.1%)은 내년 2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교사의 늘봄 행정 부담이 늘지 않도록 인력도 확대됐다. 지난 3월 3634명이었던 늘봄실무사 등 전담인력은 이달 9일 기준 9104명으로 늘었다. 학교당 1.4명꼴이다. 내년부터는 학생이 많은 대형 학교를 위주로 늘봄학교 관리자인 늘봄지원실장도 추가로 배치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 달까지 각 교육청에서 2500여명의 늘봄지원실장 배치를 신청했다”며 “내년부터 3년 간 순차적으로 선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사 3만5000여명 투입…드론·서핑 프로그램도

17236236650972.jpg

지난 3월 서울 마포구 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세상의 모든 리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선생님과 활동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교육 프로그램도 확대됐다. 이달 기준 1학년 맞춤형 프로그램 3만 9118개와 강사 3만 5433명이 준비돼 있다. 특수 학생의 발달 특성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과 인력도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청과 지역 내 기관이 협력해 특색 있는 프로그램도 다수 마련됐다. 부산시교육청은 자갈치시장 체험 프로그램, 항공 드론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강원도는 농산어촌 특색을 살려 서핑교육(양양), 농촌체험(춘천) 등이 진행된다. 경기도교육청은 원도심 소규모 학교 학생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거점형 늘봄 공유학교’를 운영하고, 통학 버스를 지원한다.

교원단체선 “아직도 인력·공간 부족”

17236236652362.jpg

지난 3월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 늘봄교실에서 신입생과 학부모가 프로그램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현장에서는 여전히 공간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례로 늘봄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3만8197실 중 늘봄 전용 교실은 1만4253실(37.3%)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담임교사가 수업을 운영하는 일반교실 6327실(16.6%)과 특별실·도서관 등 1만7617실(46.1%)을 겸용으로 사용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담임교사가 늘봄교실을 위해 공간을 내어주는 경우 교사연구실이 제대로 확보돼야 하지만 이런 공간은 인터넷조차 제대로 연결돼 있지 않은 등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오 차관은 “희망자 모두가 늘봄학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 안팎의 다양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인근 학교 유휴공간이나 지역사회의 공간 활용도 교육청별로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격차가 크다는 지적도 있다. 교총은 “농·산·어촌 학교에서는 전담 인력, 강사 등을 구하기가 어렵고 중도에 그만두는 일도 많아 채용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오 차관은 “교육지원청에서 순회 강사들을 활용하거나 추가적인 교육지원청 차원의 행정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보완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0,6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