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갈 길 잃은 '전공의 수련'…"지도 전문의 지…

본문

17236343721319.jpg

윤석준 의료인력전문위원회 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T타워에서 열린 의료인력전문위원회 주관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정부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이탈한 전공의 대다수가 돌아오지 않는 가운데 전공의 수련 교육 내실화 관련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선 지도전문의 지원 등 정부가 국가 재정을 투입해 수련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공의가 상급종합병원뿐 아니라 지역 종합병원 등에서 골고루 수련하는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의 필요성도 공유됐다.

14일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의료인력전문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박용범 대한의학회 수련교육이사가 ‘지도전문의 지원 등 수련 내실화 방안’을 발제했다. 이어 고든솔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 운영방안’ 등을 발표했다.

윤석준 의료인력전문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전공의 수련 제도는 1958년에 시작해 60년 이상 아무 변화 없이 이뤄져 왔다”며 “전공의는 피교육자이면서 의료 노동자인 이중적 지위로, 도제식 수련을 받았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전공의 비율이 30%가 넘는 주요 상급종합병원이 이들에게 낮은 임금을 지불하면서 고강도 노동을 요구해왔다”고 지적했다.

전공의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자 대학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수련하는 인턴과 레지던트를 아울러 칭한다. 의사 면허를 딴 뒤 인턴으로 1년간 여러 과를 순환 근무한다. 이후 각자 전공을 정해 레지던트로 3∼4년 수련하면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박용범 대한의학회 이사는 병원 내 인턴 교육의 문제를 짚었다. 병원별 교육의 질 차이가 크고 전문의들이 이들 교육에 집중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인턴들은 여러 과를 돌다 보니 방치되기 쉽고, 진료에 대한 책임보다는 병원 잡일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수련과 관련 인턴들도 배움보다는 무관한 업무지시를 요구받는 경우가 많았다고 답했다. 2022년 13개 병원, 인턴 110명에게 수련제도에서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사항을 설문한 결과 ‘인턴 업무와 무관한 업무지시’가 40%로 가장 많았다. 같은 해 대한전공의협의회 설문에서도 '인턴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업무를 요구받았다'는 응답이 50%를 넘겼다. 이들은 학회 자료 준비와 같은 서류 업무는 물론 청소나 빨래, 커피 배달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 이사는 이들이 방치된 이유가 지도전문의들이 진료와 연구, 당직에 전공의 수련까지 맡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이들이 교육과 평가에 투입하는 시간과 노력에 대한 국가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그는 “지도전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관리 기관, 전문 프로그램도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의 필요성 등에 대해서도 공유됐다. 현재 정부는 전공의들이 상급종합병원과 지역의 종합병원, 의원에서 골고루 수련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간 협력 수련체계를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고든솔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부연구위원은 전공의 수련과 전문의 종사 간 불균형, 다양한 임상 경험에 대한 전공의들의 수요 등을 다기관 협력 수련체계가 도입돼야 하는 배경으로 꼽았다. 전공의 수련이 상급종합병원의 입원 환자나 중증 환자 중심으로 치우쳐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보사연에 따르면 국내 활동 의사의 94.1%는 전문의이고, 이들의 48.3%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한다. 이처럼 전문의 대부분이 의원에서 근무하는 데 비해 전공의의 69.2%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수련한다. 전공의가 종합병원·의원에서 골고루 경험한다면 다양한 진료 환경과 환자를 배울 수 있게 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0,66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