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그냥 쉬는' 청년 44만명 역대 최대…75%는 &#0…

본문

17239403842057.jpg

2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시와 구글이 함께하는 ‘2024 새싹(SeSAC) 잡 페스티벌’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지원 서비스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대학을 졸업한 후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그냥 쉬었다’는 청년이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들 중 75%는 일할 의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통계청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청년층(15∼29세)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작년 동월보다 4만2000명 늘어난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팬데믹 때를 넘어서며 같은 달 기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을 뜻한다.

7월 쉬었음 청년은 2013∼2017년 20만명대였으나 2018년 30만명을 넘어섰다. 계속 늘어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44만1000명까지 증가했다가 2022년 36만1000명으로 줄었으나 작년(40만2000명)부터 다시 증가세다.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도 많은 수준이다.

지난달 40대 쉬었음 인구는 28만4000명으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적었고, 30대도 28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50대는 39만4000명을 기록했다.

청년층 인구는 줄어드는데 쉬는 청년은 늘면서 그 비중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청년층 인구 815만명 가운데 쉬었음 청년(44만3000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5.4%였다. 7월 기준 가장 많은 수준이다.

청년층의 쉬었음 비중은 2019년 4.1%에서 팬데믹으로 2020년 5.0%로 늘었다가 2022년 4.2%까지 줄었지만, 지난해(4.8%)부터 늘더니 올해 다시 5%대로 진입했다.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MD)를 분석해보니 쉬는 청년은 단순히 양적으로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할 의사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쉬었음 청년(44만3000명) 가운데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한 이들은 33만5000명으로 조사됐다. 75.6%가 구직 의사가 없었다는 의미다.

나머지 일하기를 원했던 쉬었음 청년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은 이유를 조사해보니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다’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왔다.

취업을 원했던 쉬었음 청년 가운데 42.9%는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로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를 꼽았다.

이어 ‘이전에 찾아보았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18.7%), ‘교육·기술 경험이 부족해서’(13.4%), ‘근처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1.1%) 순이었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전망총괄은 “(쉬었음 가운데) 정말 쉬는 사람도, 구직을 단념한 이도 있을 수 있다”며 “본인이 원하는 수준의 일자리를 쉽게 가질 수 없는 고용 여건이라고 생각하면 구직활동을 미룰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챗GPT 쓰면 하수입니다…"문송" 직장인이 쓴 엑셀 치트키

  • 공장은 지방이잖아…수도권 식당 취업한 20대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4,37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