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그냥 쉬는’ 청년 44.3만명 역대 최대…75%는 "일할 의사 없다"

본문

17239691746225.jpg

지난 16일 오전 후기 학위수여식이 열린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졸업생들이 우산으로 햇빛을 가리며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 초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모(28)씨는 최근 ‘취준’(취업 준비)을 접고 대전에 있는 본가로 돌아가 쉬고 있다. 지난해부터 취업 시장에 도전해봤지만, 공채 문 자체가 좁아지면서 원하는 일자리를 찾는데 실패했다. 이씨는 “당분간은 본가에서 쉬면서 고시 등 다른 진로로 변경할지 고민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같이 취업 자체를 포기하고 그냥 쉬는 청년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7월 청년층(15~29세) ‘쉬었음’ 인구는 전년 대비 4만2000명(10.4%) 늘어난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최대로, 코로나19 팬데믹이었던 2020년(44만1000명)과 2021년(39만9000명)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쉬었음 인구란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17239691747647.jpg

김경진 기자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고령층(60세 이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연령대보다도 많았다. 40대 쉬었음 인구는 28만4000명을 기록했고, 이어 30대(28만8000명), 50대(39만4000명) 순으로 많았다. 원래 쉬었음 인구가 가장 많은 고령층의 경우 110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일할 의사도 부족했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청년층 쉬었음 인구 중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라고 대답한 사람은 전체의 75.6%인 33만5000명으로 나타났다. 4명 중 1명은 구직 의사 자체가 없었던 것이다.

구직 의사가 있는데도 쉬는 나머지 청년층은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4만5000명)를 가장 많은 이유로 꼽았다. 뒤이어 ‘이전에 찾아보았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2만명), ‘교육·기술·경험이 부족해서’(1만4000명), ‘근처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만2000명),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9000명) 순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취업을 포기하는 쉬었음 인구가 늘어나면서 실질적인 청년층 고용 지표도 나빠지고 있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46.5%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감소했다.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다. 이들은 경제활동인구상 실업자로도 잡히지 않다 보니 실업률도 덩달아 0.5%포인트 떨어졌다.

17239691749143.jpg

지난 7월 신세계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채용박람회가 부산 기장군청 로비에서 개최돼 구직자들이 부스에서 인사담당자와 면접을 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결국 ‘양질의 일자리’가 없는 탓에 청년층이 구직 시장을 아예 떠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노동집약 효과를 지닌 내수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면서 일자리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증한 플랫폼 일자리도 상대적으로 질이 낮은 단순 노무직이 대부분이다.

최근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쉬었음 인구가 더 크게 증가하는 것도 이같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달 대졸(전문대 포함) 이상 쉬었음 청년층 인구는 전년 대비 8.4% 늘어난 반면, 고졸 이하는 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고용률 악화는 중장기적으로 저출생 흐름과 맞물리면서 산업 생산성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 직후엔 내수가 정상화되면서 일손 부족 현상이 있었지만, 최근에 내수 효과가 많이 줄어들면서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며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은퇴를 미루는 베이비부머 세대와 경합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청년층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4,4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