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애국가 소나무’도 고사…문경·울진·봉화 금강소나무 군락지 위험하다

본문

17240807435099.jpg

문경새재 제1관문 성벽 옆 기암절벽 위 ‘애국가 소나무’가 홀로 고사한 모습. 김정석 기자

지난 15일 경북 문경시 문경새재 제1관문 주흘관. 광복절 휴일을 맞아 문경새재를 찾은 방문객이 북적이는 가운데 주흘관 인근 기암절벽 꼭대기에 소나무가 한 그루가 눈에 띄었다. 녹음이 우거진 다른 소나무 사이 홀로 앙상하게 말라버린 소나무였다.

이 소나무는 과거 TV가 24시간 방송을 하지 않을 때 모든 프로그램이 끝나고 흘러나오던 애국가 영상에 등장했다. 애국가 2절 ‘남산 위의 저 소나무’ 구절이 나올 때 나온 소나무다.

하지만 2년 전부터 이 소나무가 말라가기 시작했다. 바위에 뿌리를 내린 탓에 수분 스트레스에 취약해 수세(樹勢)가 약해졌다는 진단이 나왔다.

문경새재도립공원 측은 영양제나 생육증진제를 주고 원뿌리를 보호하기 위해 새롭게 난 뿌리를 제거하는 등 조치를 했지만 결국 소나무는 고사했다. ‘애국가 소나무’를 알리던 안내판도 철거됐다.

경북 북부지역에서 최근 몇 년 새 소나무가 죽어가고 있어 산림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기후변화에 따른 겨울철 온난화와 봄철 가뭄 등이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심각한 곳은 금강소나무 군락이 펼쳐져 있는 경북 울진과 봉화다. 산림청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고사한 울진·봉화지역 금강소나무는 6025그루로 집계됐다. 2020년 말까지 고사한 4934그루보다 1091그루(22.1%) 증가한 수치다.

울진 금강송 군락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대왕소나무’도 수세가 급격하게 나빠지고 있다. 대왕소나무는 산봉우리 정상부에 14m 높이로 솟아 있는 금강송으로 수령이 600년으로 추정된다.

산림당국은 대왕소나무에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종합 보호조치에 나섰다. 울진국유림관리소는 부러진 피해 가지를 제거하고 상층부 금이 간 가지는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금속 소재로 덮기로 했다. 하단부 가지는 줄 당김으로 보호하고 살충제를 뿌렸다. 대왕소나무구간 숲길 탐방도 일시 중단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대왕소나무 추가 피해를 막고 울진 금강소나무숲에 대해 집단 피해 발생 원인 규명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기후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수세가 급격히 나빠진 대왕소나무 후계목도 조성할 계획”이라고 했다.

1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9,07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