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아이랑GO] 옛날에는 귀족만 입었던 비단, 이 곤충이 만들었죠

본문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이번 주말 아이랑 뭘 할까, 고민은 ‘아이랑GO’에 맡겨주세요. 이번에는 실크로드의 주역 누에에 대해 알아봐요.

17242967941921.jpg

누에의 일생과 이들이 만든 실로 어떻게 비단을 직조하는지까지 알아본 최은서(왼쪽)·변우빈 학생기자. 누에는 동서양을 잇는 실크로드 탄생의 주역이기도 하다.

누에생태체험장에 가다

고대 중국과 중국의 서쪽에 있던 여러 나라를 이어 무역과 더불어 정치·경제·문화 등을 교류하게 해준 교통로를 실크 로드(Silk Road)라고 한다. 실크로드는 중국에서 시작해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북 가장자리를 따라 파미르 고원, 중앙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안과 북안까지 이르는 길이다. 험준한 산과 광활한 사막을 가로질러 상인들이 운반했던 다양한 품목 중에서도 실크, 즉 비단은 중요한 품목 중 하나였다.

비단은 명주실로 짠 광택이 나는 피륙을 뜻한다. 가볍고 빛깔이 우아하며 촉감이 부드럽기 때문에, 근대에 화학적 공정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 낸 합성섬유가 발달하기 전까지 매우 인기 있던 고급 의복 소재였다. 비단을 만드는 명주실은 누에나방의 애벌레인 누에의 고치에서 뽑은 가늘고 고운 실이다. 최대한 많은 명주실을 얻기 위해 인간이 누에를 대량으로 사육해 고치를 생산하는 일을 양잠(養蠶), 즉 누에치기라 한다. 많은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비단은 가격이 비싸 주로 왕족·귀족 등 상류층이 비단옷을 입다. 1980년대까지 번성했던 양잠 산업은 합성섬유가 대중화되면서 가격 경쟁력을 상실했다. 하지만 인위적인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섬유라는 점에서 여전히 수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누에가 알에서 깨어나 고치를 만들기까지 약 40일 정도 소요돼 양잠 농가에서는 5월에 봄누에, 6~7월에 여름누에, 8~9월에 가을누에를 길러 실을 뽑는다. 소중 학생기자단이 누에가 실을 뽑는 원리를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 누에생태체험장에서 알아봤다.

17242967943407.jpg

누에의 먹이는 뽕나무의 잎이다. 누에가 뽕잎을 가장 많이 먹는 시기는 5령기로, 이때 먹는 뽕잎이 1~5령 동안 먹는 양의 약 80%를 차지한다.

누에란 누에나방의 애벌레를 뜻한다. 누에나방의 삶은 알→1령누에→2령누에→3령누에→4령누에→5령누에→익은누에→고치짓기→번데기→나방 단계→알 낳기의 11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누에의 먹이인 뽕잎이 자라는 뽕나무가 많은 노을공원에 있는 누에생태체험장에서는 5~10월 동안 1~5령누에, 누에고치, 누에나방 성충을 시민이 볼 수 있도록 사육하고 있다. 부화기 안에 누에나방의 알을 넣고 온도는 26.5℃, 습도는 70% 이상을 유지하면 약 9일 정도 뒤에 1령누에가 알을 깨고 나온다.

현미경을 이용해 1령누에를 확대해 보면 몸에 털이 부숭부숭한 애벌레 모양이다. 1령누에는 아직 어리기 때문에 뽕잎의 잎맥은 갉아먹지 못하고 뽕잎에서 작고 연한 부분이나 즙을 빨아 먹는다.

17242967944981.jpg

알에서 깨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1령누에가 먹은 뽕잎(오른쪽)과 4~5령누에가 먹은 뽕잎(왼쪽). 1령누에는 잎맥을 먹기에는 너무 어리기 때문에 뽕잎의 작고 연한 부분이나 즙을 빨아 먹는다. 4~5령누에는 잎맥이나 거친 부분도 먹을 수 있을 만큼 성장한 상태이기 때문에 뽕잎의 모든 부위를 먹는다.

1령누에는 태어난 뒤 4일부터는 허물을 벗기 위한 잠을 자고, 약 5일째부터 2령누에가 된다. 2령누에는 1령과는 다르게 몸에 털이 사라지고, 먹이도 얇은 잎맥 정도는 먹을 수 있다. 태어난 지 7일째까지 뽕잎을 먹던 2령누에는 8일째에 허물을 벗기 위한 잠을 자고, 9일째부터 3령누에가 된다. 3령부터는 매우 활동적이어서 관찰하기에 용이하다. 태어난 지 약 13일 정도 되는 4령누에부터는 맨눈으로 머리·숨구멍·가슴다리·배다리·꼬리발·꼬리뿔 등 누에의 몸 기관을 부위별로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누에는 령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지만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한다. 1령의 경우 26~27℃, 상대습도 90%가 좋은데, 2령·3령 등 다음 령으로 올라갈수록 온도는 1℃, 습도는 5%씩 낮춰서 사육하는 게 좋다.

누에는 몸 표면의 무늬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에 아무 무늬도 없으면 흰누에, 몸에 줄무늬가 있으면 호랑누에, 몸에 갈색 반달 무늬가 있으면 얼룩말누에다. 우리나라 양잠 농가에서는 흰누에를 많이 기른다. 누에는 종류에 따라 고치의 색깔이 다른 경우도 있다. 흰누에는 흰색 실을, 호랑누에는 노란색 실을 만든다. 누에에게 염료를 넣은 사료를 먹이면 다양한 색 실을 뽑을 수도 있다.

태어난 지 19~25일 사이에 해당하는 5령누에는 1령과 비교했을 때 몸길이는 약 30배 정도 커지고, 몸무게는 약 1만 배 정도 증가한다. 그만큼 먹는 양도 많다. 1~5령 사이 누에가 먹는 뽕잎의 양 중 약 80~90%가 5령기에 먹는 양이다. 누에를 많이 기르는 양잠 농가에 가면 5령누에가 ‘서걱서걱’ 뽕잎을 먹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17242967946439.jpg

누에는 생후 26일 정도가 되면 몸속 실샘에서 액체를 뿜어내는데, 이 액체가 공기와 만나면서 실이 된다. 누에는 실을 사용해 자신을 보호할 고치를 만든다.

누에는 태어난 지 26일 정도가 되면 뽕잎을 더 이상 먹지 않고, 머리를 흔들어 대면서 고치를 지을 장소를 찾기 위해 계속 돌아다닌다. 이 상태를 익은누에라고 한다.

누에는 몸에는 견사샘(실샘)이라는 기관이 있다. 익은누에의 몸속 견사샘에는 액체가 가득 차게 되는데, 집을 짓기 위한 장소를 찾으면 견사샘 속 액체를 실을 토하는 관을 통해 뱉어낸다. 이 액체는 공기와 만나 굳어지면서 실의 형태가 되고, 이를 이용해 누에는 고치를 짓는다. 누에가 토해내는 비단실의 굵기는 0.02mm 정도이며, 1분에 20cm 정도의 실을 만들 수 있다. 누에 한 마리가 토하는 실의 길이는 1500~1700m 정도에 달한다. 고치만들기 3일 차 정도가 되면 속이 완전히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되고, 4일 차가 되면 고치가 딱딱하게 완성된다. 몸속에서 액체를 계속 토하면서 실을 만들기 때문에 고치가 커질수록 누에의 몸집은 계속 작아진다.

누에가 실을 토해 고치를 만드는 이유는 허물을 벗기 위한 안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고치 안에서 허물벗기를 끝낸 누에는 번데기가 되는 과정을 거쳐 나방이 되어 고치를 뚫고 나온다. 나방은 짝짓기한 뒤 알을 낳고, 그 알에서 다시 1령누에가 탄생한다. 참고로 번데기 상태의 누에를 가공하면 우리가 먹는 번데기 통조림이 된다.

비단을 제작하는 명주실을 만들려면 누에고치에 감긴 실을 풀어서 물레로 감아 실타래를 만들어야 한다. 미지근한 물에 누에고치를 넣으면 칭칭 감겨있던 실이 풀린다. 그러면 실의 끝부분을 핀셋으로 집어서 물레의 고리에 감고, 물레를 돌리면 누에고치의 명주실이 풀린다.

17242967947952.jpg

누에고치는 누에가 만든 실이 여러 겹으로 감긴 타래다. 고치에 감겨있는 실을 풀려면 미지근한 물에 넣고 조심스럽게 굴려줘야 한다.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곤충을 익충(益蟲)이라 한다.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누에를 통해 명주실을 얻어 비단을 직조했다. 이 비단은 옷감은 물론 그림을 그리는 화폭, 글로 정보를 기록하는 종이 역할도 했다. 즉, 인류 문명의 발달과 누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이다.

아이랑GO를 배달합니다

17242967949384.jpg

이번 주말 뭘 할까 고민은 아이랑GO에 맡겨주세요. 아이와 가볼 만한 곳, 집에서 해볼 만한 것, 마음밭을 키워주는 읽어볼 만한 좋은 책까지 ‘소년중앙’이 전해드립니다. 아이랑GO를 구독하시면 아이를 위한, 아이와 함께 즐길 거리를 풍성하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4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