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우리 시 운율로 셰익스피어 읽어보라. 진실과 만나는 순간 찾아올 것"

본문

“오 로미오 로미오, 왜 그대는 로미오인가요?”(O Romeo, Romeo! wherefore art thou Romeo?)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에 등장하는 그 유명한 ‘발코니 장면’, 원수 집안의 아들을 사랑하게 되었음을 알게 된 줄리엣이 안타까움에 휩싸여 내뱉는 대사다. 이 대사는 시일까 산문일까.

원작에서 발코니를 사이에 두고 주고받는 둘의 대화는 서양 정형시의 한 종류인 소네트(sonnet) 형식으로 쓰였다. 하지만 그동안의 번역서나 영화, 연극 등을 통해선 이 대화에 담긴 시적 운율과 리듬감이 충분히 전해지지 못했다. 최근 전 10권으로 완간된 『셰익스피어 전집』(민음사)은 셰익스피어의 전작을 운문의 느낌을 살려 새롭게 번역한 야심찬 시리즈다. 최종철(75)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는 지난 1993년 ‘맥베스’ 운문 번역을 시작으로 30년간 이 작업에 매달려왔다.

17253518353926.jpg

최종철 연새대 명예교수가 3일 열린 『셰익스피어 전집』완간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민음사

3일 서울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열린 완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최 교수는 “셰익스피어 특유의 시적인 느낌을 한글로 어떻게 옮길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다”면서 “시조를 비롯해 우리 시의 가장 보편적인 운율인 ‘삼사조(三四調)’를 적용해 등장인물들의 감정과 사상을 리듬감 있게 살려냈다”고 말했다.

실제 셰익스피어 희곡의 대사 절반 이상은 운문 형식이다. 4대 비극 중 ‘햄릿’과 ‘리어왕’은 75%, ‘오셀로’는 80%, ‘맥베스’는 무려 95%가 운문 형식 대사로 이뤄져 있다.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 뒤에 강세를 받는 음절이 따라오는 구성(약강)이 시 한 줄에 연속적으로 5번 나타나고(오보), 각운은 맞추지 않는(무운) ‘약강 오보격 무운시’ 형식이 주로 사용됐다. ‘햄릿’의 명대사인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이란 대사가 대표적이다. 그는 이 대사를 삼사조 운율을 적용해 “존재할 것이냐, 말 것이냐, 그것이 문제다”로 옮겼다.

“일본 번역의 영향권에서 독립”

그동안 수많은 사람이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읽고, 무대에 올렸음에도 운문 완역이 이제야 이뤄진 이유는 뭘까. 최 교수는 “1920년대 우리 지식인들이 일본, 일본어라는 통로를 통해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처음 받아들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표의 문자인 한자와 표음 문자인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혼합해 쓰는 일본어의 경우, 셰익스피어의 문장을 시어의 형태로 번역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언어학자들의 견해다.

17253518355315.jpg

셰익스피어 전집. 표지디자인을 맡은 북 디자이너 유지원은 셰익스피어 작품에서 받은 영감을 수학적인 패턴으로 형상화했다. 사진 민음사

그러나 한국어는 표음 문자라는 점에서 영어와 통하고, 비슷한 길이와 리듬감으로 운문의 묘미를 살리는 게 가능하다. 최 교수는 따라서 자신의 이번 작업이 “위대한 한글 덕분에 100여년간 지속돼온 일본어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문학적으로, 문화적으로 독립했다는 뜻”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2014년, 셰익스피어 탄생 450주년을 맞아 기획된 이번 전집에는 4대 비극을 포함한 비극 10편, 희극 13편, 역사극과 로맨스 외 15편, 시 3편, 소네트(14행의 정형시) 154편 등 셰익스피어의 전 작품이 담겼다. 최 교수는 그중 가장 번역하기 어려웠던 작품으로 ‘맥베스’를 꼽았다. “맥베스의 대사에는 압축·비유·상징이 너무 많습니다. 전광석화처럼 빠르게 흘러가는 대사들의 의미와 느낌을 우리말로 충실히 옮기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평생 영문학을 공부한 학자에게도 완역 작업은 새로운 벽과 계속 마주해야 하는 경험이었다. 그는 “셰익스피어 작품은 지금 읽어도 해석이 어려운 부분이 한 두 군데가 아니다”라며 ”그만두고 싶은 순간도 있었지만, 뜻이 잘 전달됐다 싶었을 때 느끼는 기쁨이 고통보다 컸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이 인간의 번역을 대체하는 시대가 코앞까지 왔지만,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어떤 영역이 아직 남아 있다며 “현재 AI의 알고리즘으로는 인간의 짧은 언어 하나에 담긴 수십 가지의 뉘앙스를 압축해 전달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인간 감정의 진실에 접근한 사람" 

셰익스피어의 문학이 지금도 새롭게 해석되고, 읽히는 이유는 “인간 감정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최 교수는 설명했다. 예를 들어 햄릿의 경우 복수를 꿈꾸면서도 복수 그 자체에 대해, 복수하려는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회의한다. “외부와의 투쟁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투쟁을 보여주죠. 인간 본성의 진실을 아주 잘 연결되는 스토리로 꾸며, 거기에 가장 적합한 인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셰익스피어 천재성의 핵심입니다.”

최 교수는 이어 “셰익스피어 작품을 읽은 사람은 내면의 변화가 찾아오고, 인생을, 자신을,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특히 “소리를 내서 읽어보면 그런 순간이 반드시 찾아올 것”이라며 셰익스피어 운문 번역이 주는 즐거움을 만끽해보라고 독자들에게 권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8,01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