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독]중상해 많은데…산재병원 8곳 중 5곳, 응급전문의 '0명&apos…

본문

17279867025603.jpg

근로복지공단 로고

근로복지공단에서 직접 운영하는 산재병원 8곳 중 5곳에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대학병원 응급실을 중심으로 의료대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산재병원에도 응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를 신속히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이 운영하는 전국 산재병원 8곳 가운데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은 안산·대전·동해 등 3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가 몰려있는 안산병원은 3명, 대전병원과 동해병원은 각각 1명의 응급의학 전문의가 근무하고 있다. 나머지 인천·창원·순천·태백·정선 등 5곳엔 응급의학 전문의가 없다.

17279867026861.jpg

차준홍 기자

이들 병원은 모두 응급의료시설이나 지역응급의료기관을 갖추고 있지만, 응급의학 전문의가 없는 경우엔 정형외과·흉부외과·마취과·산부인과 등 타 전공의가 전담의사로 배치돼 있었다. 일반의를 전담의사로 두는 병원도 일부 있었다. 실제 산재 발생에 따른 응급 상황에서 대응 역량이 취약할 우려가 있다.

지난 3년간 산재병원 8곳에서 발생한 이송·전원은 총 3357건으로 집계됐다. 이송·전원은 중증 전문치료나 수술 등 상급병원 진료가 필요해 다른 병원으로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강원 태백병원의 경우 3년간 이송·전원이 1416건으로, 전체의 42.2%를 차지했다. 뒤이어 동해(640건), 정선(515건), 안산(307건), 대전(140건) 순으로 이어졌다. 모든 이송·전원을 소위 ‘응급실 뺑뺑이’로 치부할 순 없지만, 응급의학 전문의가 있는지 여부가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산재병원은 특성상 작업 중 사고로 중상해를 입는 환자 수요가 많은 만큼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산재 사고 중 떨어짐·끼임·부딪힘·깔림 등 신속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고 사망자만 427명을 기록했다. 근로복지공단은 “국민의 의료 안전망 강화를 위해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고, 특히 응급 의료 기능을 지속해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홍배 의원은 “최근 의료대란으로 인해 응급시설 확보가 시급한 상황에서 근로복지공단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산재병원에서조차 응급 치료를 위한 인프라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산재병원이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 등 근본적인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3,98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