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 "韓 놀라운 경제성장, 연구 사례"

본문

1728958923614.jpg

14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의 스웨덴 왕립과학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올해의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가 화면에 비춰지고 있다. 화면 왼쪽부터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인 다론 아제모을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 사이먼 존슨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정치학과 교수. AP=연합뉴스

‘국가 간 번영에 사회 제도가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공로로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경제학자들은 한국의 경제 발전을 바람직한 제도에 기반해 만들어낸 성공 사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다론 아제모을루(57)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는 14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 이후 MIT가 주최한 온라인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북한은 제도의 역할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북한은 분단 전 (경제 규모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서로 다른 제도 속에 시간이 점점 지나면서 경제 격차가 열 배 이상으로 벌어졌다”고 말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한국의 이러한 발전이 쉽게 이뤄진 것은 아니었다”면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어려웠지만 민주화 이후 성장 속도를 더 높였고 성장 방식도 더 건강하게 이뤄졌다”고 평했다.

노벨상 공동 수상자인 사이먼 존슨(61)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는 배우자가 한국계 미국인이라고 소개한 뒤 “(한국 경제가) 쉬운 여건은 아니었고 오늘날 문제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한국 경제는 훨씬 나은 상태이며 다른 나라들이 이룬 것에 비해 놀라운 성취를 이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우리가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지향하게 만들어야 할 방향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 경제가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한국은 여전히 대기업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급속한 고령화를 겪는 국가들은 많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것이며 새로운 생각과 기술에 대한 개방성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한국의 경우 경쟁 압력을 통해 도전에 대처하는 게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했다.

북한에 대해선 변화를 기대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봤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북한에 대해선 큰 희망을 갖고 있지 않다. 북한 시스템은 현시점에서 여전히 굳어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존슨 교수는 북한의 핵ㆍ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 “극히 위험한 상황”이라며 “좋은 제도가 포용적인 성장을 가져오고 더 많은 사람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해준다고 하더라도 지배층이 그런 제도를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5일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결과에 불복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기도 했다. 존슨 교수는 수상 발표 직후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패배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미국에서 자리 잡은 제도들이 압박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선 불복은 산업화 세계에서 내가 목격한 가장 큰 우려”라며 “11월 5일 대선은 미국 민주주의에 가장 심각한 압박 테스트”라고 했다.

아제모을루ㆍ존슨 교수와 함께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제임스 로빈슨(64) 시카고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날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대선에서 패배를 거부한 대통령 후보가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시민의 민주적 규칙을 거부했다”며 “(트럼프의 대선 불복 가능성이) 우려된다. 나는 걱정스러운 시민”이라고 말했다.

앞서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제도가 국가 번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공로로 아제모을루ㆍ존슨ㆍ로빈슨 교수 3명을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 아제모을루와 로빈슨 교수는 2012년 국가 성장과 관련한 역사적 사례를 분석한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의 공동 저자로 국내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6,16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