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마음이 아픈 시민 '토닥토닥'…서울 25개 자치구 상담소 설치
-
6회 연결
본문
매년 10만명에게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살위험 신호를 감지해 전문가에게 알리는 '생명지킴이'를 양성한다. 서울시가 28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자살 예방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서울시민 10만명당 자살률은 23.2명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았다. 서울시민 2명 중 1명(52.5%)은 스스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령 구조 차이를 제거한 서울시 연령표준화 자살률(19명)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0.7명) 대비 1.8배 높다.
서울시는 이처럼 심각한 자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그동안 자살 시도자 등 고위험군 대상으로 관리하던 방식 대신, 일상 속에서 마음 건강을 돌보며 외로움·고립감을 줄이는 포괄적 지원 방식으로 바꾼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자살률을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추는 게 목표다.
서울시, 자살예방 종합계획 발표
서울시는 우선 마음 건강 돌봄을 강화한다. 자살 충동·위험 감지 시 24시간 연결이 가능한 전화 상담창구를 확대·운영한다. 현재 12명인 자살예방 상담 인력을 2026년까지 30명으로 늘린다.
이와 함께 서울시내 25개 모든 자치구에 ‘마음상담소’를 설치한다. 마음상담소는 정신건강전문요원·임상심리전문가가 마음 건강을 상담하고 필요시 민간심리기관을 연계하는 조직이다.
전문 심리 상담 서비스도 지원한다. 올해 2만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확대해 2027년부턴 매년 10만명으로 혜택을 늘린다. 상담은 주 1회(50분 이상) 8주간 제공하며, 1인당 지원 금액은 회당 8만원이다. 경증 우울감·불안이 자살로 이어지는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서울형 통합 자살예방 모델도 구축한다. 동(洞) 단위로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한다. 1인 가구가 밀집하거나 알코올 중독 중년이 많은 지역을 ‘동행촌 생명존중 마을(가칭)’로 지정한다. 동네 병원·상점이나 통·반장 등이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며 이웃을 돌본다.
비용도 지원한다. 동네 병·의원과 협력해 자살 고위험군을 초기에 발굴하고, 회당 2만~4만원인 정신의료기관 검진·상담 비용을 연간 최대 3회까지 지원한다.
洞 단위 안전망 구축…병원·상점이 위험군 발굴
마지막으로 시민이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생명돌봄활동’을 추진한다. 자살예방 메시지, 수기 공모를 비롯해 영화제 등 시민참여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 가족·친구·이웃 등 주변인이 자살위험 신호를 인지해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생명지킴이’도 체계적으로 양성한다.
서울시는 자살예방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서울시 자살예방위원회’를 신설·운영하고, 자살 등 각종 통계 분석과 심리 부검 강화, 자치구별 전담조직 구성 등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자살은 사회적 문제”라며 “초기 우울감·고립감을 느끼는 시민을 빠르게 지원해 자살률을 지속해서 낮추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