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주에 강남 특실은 4000만원…'산후조리원 이용료' 보니 깜짝
-
3회 연결
본문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료가 2주에 일반실 기준 346여만원으로 파악됐다. 출생률 감소로 조리원 수가 줄어들었고 물가 상승과 한 명만 낳는 세태가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전국 산후조리원은 452곳으로 2020년 512곳에 비하면 60군데가 폐업했다. 복지부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산후조리원의 영업 여부와 가격을 조사해 공시한다.
가격이 가장 합리적인 일반실은 평균 약 346만원이었다. 지난해 6월 약 320만원에서 1년 만에 8% 넘게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54여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특히 서울 강남구의 한 조리원은 일반실 이용료가 1700만원에 달해 최고가였다. 전국에 1000만원을 넘는 조리원은 5곳, 500만원 이상도 38곳이나 됐다.
세종 376여만원, 광주 370여만원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축에 들었다. 가장 낮은 이용료는 전남으로 170여만원이었다.
산후조리원 상당수는 각종 시설이 다르고 방 면적이 넓다는 이유로 특실을 따로 뒀다. 전국 332개소가 운영 중인데 2주 평균 비용이 약 504만원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조리원은 4020만원을 받고 있었다. 이밖에 2500만원 짜리 등 1000만원이 넘는 곳이 23군데였다.
이에 대해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 중인 한 산모는 "주변 얘기를 들어보니 지자체 지원금이 지급된 이후 오히려 조리원들이 담합하듯 다같이 가격을 올렸다고 했다"면서 "특실도 특별한 사람이 가는 게 아니고 노산이나 시험관 시술을 한 산모들은 대체로 선택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처럼 비싼 가격에도 조리원 수는 2021년 492곳에서 2022년 480곳, 2023년 469곳으로 매년 줄고 있다. 업계에선 저출생과 더불어 최저임금 급등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이 결정타였다고 본다. 통상 조리원 운영비의 70%가 인건비인데 최근 최저임금이 급격히 올라오면서 산모들의 부담도 커지고 조리원도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요즘 산모들에게 산후조리원 2주 입소는 당연한 일이 됐지만 지역 격차는 여전하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산후조리원의 66%가 서울과 경기도에 밀집해 있다. 기초지방자치단체 99곳에선 조리원이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도서산간에선 산모가 조리원이 있는 분만병원을 미리 정해놓고 지역을 넘어가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신생아가 없으니 조리원이 없고 간혹 아이를 낳더라도 편의시설을 누릴 수 없는 악순환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은 요금이 저렴하지만 전국에 21곳에 불과하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