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등어잡이 배 침몰 원인은 고등어? 구조자들 "어획량 많았다"

본문

구조자들 “사고 당시 3~5회 작업할 양 잡아”

17312219460787.jpg

8일 제주 해상에서 27명이 탄 어선이 침몰해 해경이 실종자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 제주해경

14명의 사망·실종자 등 큰 인명피해가 난 135금성호(129t)의 침몰 원인이 ‘과다 어획’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 배는 이날 제주 비양도 앞바다에서 고등어를 잡고 있었다.

10일 제주해경은 “구조자들은 공통으로 사고 당시 3~5회 작업할 양을 어획했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 김대철 제주해양경찰서 수사과장은 “사고 당일 구조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나온 유의미한 자료는 평소보다 어획량이 많았다는 진술이 나온 점”이라며 “당시 금성호가 그물이 묶여 있던 선체의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 이 부분이 영향을 줬는지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김 과장은 “운반선이 한 번 운반할 때 약 200t 정도를 운반한다. 한 차례 운반선으로 어획물을 옮긴 뒤 그다음 운반선이 바로 대기하고 있었다는 걸 보면 많은 어획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아직 사고 원인을 확정 지을 순 없어 순간적으로 복원성을 잃어버린 원인을 다각도로 파악하겠다”고 덧붙였다.

“어획물 두 번째 배 옮기는 작업 중 복원력 잃어”

1731221946227.jpg

사고선박인 135금성호 운항 모습. 사진 제주해양경찰청

사고 직후 조사에서도 금성호는 사고 당시 어획물을 한 차례 운반선으로 옮긴 뒤 두 번째 운반선을 기다리다 복원력을 잃고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해경에 따르면 선단은 보통 본선 1척과 등선 2척, 운반선 3척 등 6척이 무리를 이뤄 조업한다. 침몰한 금성호는 6척의 선단 어선 중 ‘본선’이다. 본선에서 길이 약 1200m~1400m의 그물을 펼치고 등선에서 조명을 켜 고등어·삼치·정어리 등을 그물 주위로 모은다. 이후 본선에서 깊이 약 200m~250m의 그물을 조여 어획물을 가둔다. 이후 운반선이 본선에 다가가 물고기를 옮기는 작업을 한다. 사고 당시엔 본선 우측에서 그물을 조여 어획물을 가둔 뒤 운반선이 자체 크레인을 이용해 고등어를 옮겼다. 이후 두 번째 운반선이 다가오는 과정에서 본선이 복원력을 잃어 전복됐다. 해경은 구조된 선원들의 진술과 다른 선단 관계자 등에 대해서도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향후 선체를 인양한 뒤엔 배의 구조적 결함 여부도 조사할 예정이다.

17312219463739.jpg

김주원 기자

해경은 실종자 수색에 전력하고 있다. 수색 이틀째 실종 선원 한 명이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제주해양경찰청에 따르면 9일 오후 투입된 해군 광양함의 원격조종 수중로봇(ROV)이 같은 날 오후 9시쯤 금성호 선체 주변(한림항 북서쪽 약 24km 해상)에서 수심 92m 바닥에 누워있는 방수 작업복을 착용한 시신 1구를 발견, 수습했다. 시신은 이튿날 오전 2시 15분쯤 해경 500t급 함을 통해 제주항으로 입항했으며, 감식팀이 신원을 파악한 결과 금성호의 한국인 선원 이모(64)씨로 확인했다. 가라앉은 배는 현재 뒤집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해저 지면에 안착한 상태다. 다만 수중 조류의 영향이 있어 향후 위치는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100m 잠수 가능 심해잠수사 투입 예정 

17312219465219.jpg

8일 제주 해상에서 27명이 탄 어선이 침몰해 특수구조단 등 잠수사 27명이 투입돼 수중 수색 작업에 돌입했다. 사진은 잠수사가 어선과 연결된 그물을 수색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제주해경

사고 해역에서는 실종자 11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해경은 해수유동예측시스템 결과를 토대로 수색 구역을 37㎞×19㎞에서 51㎞×19㎞로 확대해 수색하기로 했다. 다만 기상 상황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해경은 사고 해역 주변의 기상 상황을 지켜보며 수색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실종자 1명이 해당 선박 근처에서 발견됨에 따라 다른 실종자들도 해당 선박 내외부 혹은 그물망 인근에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100m 내외의 잠수가 가능한 심해잠수사 12명과 작업에 필요한 크레인 바지선은 10일 정오에 현장에 도착했고, 기후 상황 등을 보다가 수중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해군 구난함인 광양함과 청해진함의 해경 잠수사 27명도 수중 수색을 위해 현장에서 대기 중이다.

항해사 “한솥밥 먹던 형·동생 사이...살아 돌아올 것” 

17312219466649.jpg

부산 선적 135금성호(129t·승선원 27명) 사고수습대책본부가 마련된 제주 한림항 선원복지회관. 최충일 기자

사고 당시 구조 작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금성호 항해사 이태영(41)씨는 “직책을 떠나 형·동생 사이로 한솥밥을 먹던 사람들이고, 누구라도 그랬을(구조에 나섰을) 것”이라며 “살아 돌아올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씨는 사고가 난 뒤 함께 조업하던 선단선 103금성호와 12금성호가 구조할 당시 선원들을 먼저 구명장비에 태우고 마지막에 배에 올랐다.
앞서 지난 8일 오전 4시 31분쯤 제주시 한림읍 비양도 북서쪽 약 22㎞ 해상에서 부산선적 선망어선 금성호의 침몰 신고가 접수됐다. 어선에는 한국인 16명과 인도네시아인 11명 등 27명이 승선 중이었다. 사고 직후 같은 선단 어선에 의해 15명(한국인 6명·인도네시아인 9명)이 구조됐으나 한국인 2명은 병원에서 사망했다. 실종 12명(한국인 선원 10명‧인도네시아인 선원 2명) 중 한국인 1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12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