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韓 “복지국가 위해 누수 없이 돈 잘 써야”…朴·文 정부서 불발된 재정준칙 궤도 위 올릴까
-
3회 연결
본문
여권이 민생경제 점검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하루 앞두고 21일 ‘재정준칙 법제화’에 한목소리를 냈다.
이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재정준칙 도입을 위한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선진국 중 재정준칙이 없는 나라가 거의 없다”며 “돈을 인색하게 쓰겠다는 취지가 아니라 복지국가로 가기 위해 누수 없이 잘 쓰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를 주최한 송언석 의원(기획재정위원장)은 “건국 이후 70년간 600조원 정도의 국가 채무가 쌓였는데,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무려 400조원이 늘어났다”며 “코로나19 때문이라고 핑계를 대지만, 실제로 이는 100조원이 안 되고 나머지 300조원은 다른 문제 때문에 늘어난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송 의원은 지난 6월 국가채무 비율을 45% 이하로 유지하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을 2% 이하로 관리하도록 규정하는 내용의 재정건전화법을 발의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미래세대에 과중한 부담이 전가되지 않도록 국가채무 비율을 GDP 대비 50% 수준으로 관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100년 갈 재정준칙이 결실을 맺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낸 추경호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 5년간 실정과 빚잔치로 경제를 운영한 후유증을 지금 우리가 앓고 있다”며 “우리가 (재정을) 다 털어먹고 빚더미를 후(後)세대에 넘겨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재정준칙 법제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된 건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부터다. 탄핵 국면을 맞아 제대로 추진 못 했다. 문재인 정부도 2020년 10월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마련했지만, 팬데믹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으면서 뒤로 밀렸다.
윤석열 정부는 재정준칙 도입을 국정과제로 삼았지만, 야당은 재정준칙 법안을 사회적경제기본법과 연계해서 처리하자는 입장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