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경덕 “유네스코에 고발…사도광산 ‘강제성’ 표현 전혀 없었다”

본문

1732496425505.jpg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모식’이 끝난 뒤 나카노 고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 위원장(왼쪽)과 와타나베 류고 사도시장이 인터뷰하고 있다. 일본 중앙정부 대표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력이 논란이 되면서 한국 정부가 전격 행사 불참을 선언하는 등 추도식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면서 많은 한일 언론인이 행사장에 몰려들었다.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한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일본 정부가 강제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유네스코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답사 자료를 엮어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올바르게 알리지 않고 있는 일본의 행태를 유네스코 측에 고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 교수는 “최근 사도광산을 답사하고 돌아왔다”며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서도 조선인의 가혹한 노동은 기술돼 있지만 ‘강제성’ 표현은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반도인(조선인)은 원래 둔하고 기능적 재능이 극히 낮다’, ‘반도인 특유의 불결한 악습은 바뀌지 않아’ 등 오히려 조선인을 비하하는 내용을 전시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또 “군함도 등재 당시 일본은 희생자를 기리는 정보센터 설치를 약속했다”면서도 “센터를 현장이 아닌 1000㎞ 떨어진 도쿄에 설치하고 강제성을 부인하는 자료를 전시하는 것에 이어 또 뒤통수를 맞은 꼴”이라고 비판했다.

‘반쪽’ 사도광산 추도식…日언론 “역사문제 불씨 살아나” 

17324964258697.jpg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했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24일 한국과 일본의 불협화음 속에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주최로 사실상 ‘반쪽짜리’ 추도식이 열렸다. 추도식에는 약 100명이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한국 측 불참으로 약 30개 좌석이 비어 ‘반쪽 행사’임을 여실히 보여줬다. 연합뉴스

사도광산 추도식은 지난 24일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렸다. 한국 정부와 유가족도 추도식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추도사를 낭독할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차관급)이 과거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는 이력이 불거지는 등 논란이 지속되자 불참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추도사에서 “1940년대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가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고 말했지만 강제동원 등 강제성과 관련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지난 7월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당시 한국과 일본이 합의한 추도식에 한국이 전격적으로 불참한 것과 관련해 아사히신문은 “한일 간 역사 문제를 둘러싼 불씨가 다시 부각되는 모양새”라고 25일 보도했다.

일본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국 동의를 얻기 위해 모든 노동자를 추도하는 행사를 매년 열기로 했다.

그러나 양국이 협의 과정에서 갈등을 빚어 전날 사도섬에서 개최된 ‘사도광산 추도식’에 한국 유가족과 정부 관계자는 참석하지 않았다.

신문은 추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가한 차관급 인사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관련 보도가 한국이 추도식을 보이콧한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짚었다.

신문은 “이쿠이나 정무관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2022년 당시 일부 일본 매체가 보도했다”며 “이번 추도 행사 참석이 발표된 이후 한국 매체가 연이어 보도해 한국 내에서 이쿠이나 정무관의 참석을 문제시하는 목소리가 나왔다”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2022년 8월 15일 “이쿠이나 의원 등 국회의원 20여 명이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고 보도한 바 있고, 산케이신문도 전날 “이쿠이나 정무관이 2022년 8월 15일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이쿠이나 정무관은 아사히에 “나는 2022년 8월 15일에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전날 취재진과 만나서도 “참의원(상원) 의원 취임 후에는 참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추도식 관련 이슈와 관련해 대응에 문제가 없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도광산에서 일한 노동자의 강제성을 둘러싸고 한국과 이견이 있는 상황에서 정무관 이상의 참가를 원한 한국 측 요구를 수용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그러나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정무관이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을 언급하지 않고 사과의 뜻도 표명하지 않아 한국에서는 일본이 2015년 이른바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처럼 합의 이후 ‘뒤통수’를 쳤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90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