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김용현 "왜 늦어지지""헬기는…" 양…
-
1회 연결
본문
12·3 비상계엄이 선포되던 날,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긴박했던 순간. 북한과의 전시 상황에 3군을 지휘하는 합참 지하 벙커 전투통제실에서 김 전 장관은 양손에 비화폰을 들고 “명령 불응 시 항명죄로 다스린다”고 사령관들에게 엄포를 놓으며 ‘서울의 밤’ 3시간을 지휘했다. 당시 현장의 군 고위 관계자들을 포함해 10여 명의 군·경 관계자와의 인터뷰, 수사기관 진술 등을 종합해 그날을 재구성했다.
김용현, 계엄날 아침 노상원 만났다
김 전 장관은 계엄 당일 이른 아침 서울 한남동 공관에서 ‘보안 손님’을 만났다. 이번 계엄을 배후에서 기획했다는 의혹을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육사 41기)이었다. 육사 38기 선배였던 김 전 장관은 평소 그를 “상원아”라고 불렀다. 노 전 사령관은 이날 20~30분간 김 전 장관을 대면한 뒤 공관을 나섰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2시35분에 시작된 공식 오찬까지 방한한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일정을 소화했다.
오후 4시쯤엔 김 전 장관과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의 집무실 독대가 있었다. 박 총장은 약 7시간 뒤 계엄사령관에 임명되는 인물이다. 장관 독대에서 박 총장은 “오후 9시 40분까지 장관 집무실(대기실)로 오라”는 지시를 받았다. 오영대 국방부 인사기획관도 오후 5시쯤 결재보고를 위해 김 전 장관을 독대한 자리에서 “오후 9시 30분쯤 집무실로 오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런 식으로 장관에게 “오후 9시 30분~40분 사이 집무실로 오라”는 연락을 받은 인사는 두 사람 외에 김흥준 육군본부 정책실장, 정진팔 합동참모본부 차장, 이재식 합참 전비태세검열차장,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 등 모두 6명이다.
“원래 계엄은 오후 10시로 계획돼있었다”는 노 전 사령관의 경찰 진술대로라면 계엄사령관과 부사령관, 계엄사 인사 명령, 언론 발표 등을 맡을 인사들을 집무실로 부른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들과 김 전 장관의 실제 대면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담화문이 시작된 이후인 오후 10시 25분쯤 합참 지하 전투통제실에서 이뤄졌다.
그사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은 오후 7시쯤 삼청동 안가에서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을 만났다. 두 사람에겐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 10여 명 체포 명단과 국회·선관위 등 주요 장악 지점, ‘2200(오후 10시) 계엄령 선포’가 적힌 국방부 형식의 계엄 작전 지휘서 등이 전달됐다.
5분 만에 끝난 국무회의, 김용현의 ‘1인 지휘’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계엄 선포 직전 대통령실 2층 접견실에서 열린 국무회의는 오후 10시 17분부터 22분까지 5분 만에 종료됐다. 회의에는 윤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국무위원들 만류에도 윤 대통령은 ‘오죽하면 이러겠느냐’며 1층 브리핑룸으로 내려가 10시 23분부터 긴급 담화를 시작했다.
앞서 오후 9시쯤 대통령 집무실을 찾은 조 장관은 ‘외교부장관 조치사항’이 적힌 종이 한장을, 최 부총리는 국무회의에서 ‘계엄 관련 예비비 확보’ 취지의 참고사항이 적힌 쪽지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A4 한장 문서엔 “국회 운영비를 끊고 비상계엄 입법부 운영 예산을 짜라” 지시가 담겼다고 한다.
김 전 장관은 대통령 담화가 시작되자마자 10시 25분쯤 대통령실 경내에 있는 합참 전투통제실로 이동했다. 10시 28분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는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1분 전 김 전 장관은 여인형 방첩사령관에 전화를 걸어 여야 대표 등 주요 정치인 체포를 지시했다.
10시 30분쯤엔 군단장급 이상 전군 지휘관 화상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대통령님의 뜻을 받들어 임무 명령을 하달한다” “이 시각 이후 모든 군사활동은 장관이 책임진다” “공이 있다면 여러분의 몫이고, 책임이 있다면 장관의 몫” “명령에 불응하거나 태만한 자는 항명죄로 다스릴 것” 등의 내용을 발표했다. 이같은 지시사항은 일부 일선 병력에도 문자 형태로 전달됐다.
화상회의 이후 김 전 장관은 박 총장을 앞으로 불러, 들고 있던 노란 서류봉투에서 ‘포고령 1호’가 적힌 A4 용지 1장을 꺼내 전달했다. 당시 전투통제실에는 김명수 합참의장, 김선호 국방부 차관 등 군 수뇌부 40여 명 정도가 있었다.
이들에게 김 전 장관은 양손에 비화폰을 들고 계엄을 ‘1인 지휘’한 것으로 기억됐다. 김 전 장관은 한 손에 군 비화폰, 한 손에 정부 비화폰을 들고 “왜 늦어지지” “헬기는…” 등의 지시를 이어갔다.
그러나 단 한 번도 언성을 높이거나, 초조해하는 기색은 없었다고 한다. 한 군 간부는 “오히려 체념한 사람처럼 차분함이 느껴졌다”고 회상했다. 김명수 합참의장 등 원래 전투통제실에서 국군을 상시 지휘할 수십 명의 간부들은 무릎에 양손을 모으고 차렷 자세로 앉아 멀뚱멀뚱 TV로 상황을 확인했다고 했다. “지금 국회에 들어가는 부대가 707인가, 1공수인가… 등을 TV에 나오는 부대 마크를 보며 알았다”(군 관계자)는 증언이 나왔다.
그날 선관위·국회 현장에선…尹 “체포 지시한 적 없어”
그러나 현장 상황은 달랐다. 특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 청사는 미리 대기 중이던 계엄군이 윤 대통령의 담화 종료 2분 만인 10시31분 진입에 성공했다. 이들은 곧장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청사 출입을 통제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따르면 계엄군은 사전선거명부 관리 시스템 서버(10시43분), 행정시스템 서버와 보안시스템 서버(10시45분), 외부망 연결 통신장비 서버(10시45분)를 촬영했다. 오후 11시 23분엔 ‘계엄사령관 박안수’ 명의의 포고령 1호가 발표됐다.
비슷한 시각 방첩사는 ‘체포조’ 구성에 나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방첩사는 오후 10시 28분부터 4일 새벽 1시 51분까지 8차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오후 10시 43분부터 오후 11시 52분까지 4차례 국방부 조사본부에 연락해 체포조 인력 지원을 거듭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여인형 방첩사령관으로부터 10시 30~40분쯤 이 대표의 위증교사 혐의 1심 무죄를 선고한 김동현 판사를 포함해 체포 명단 15명에 대한 위치 추적을 요청받았다”고 진술했다.
당초 계엄군은 오후 10시 48분쯤부터 국회 진입을 위해 수도방위사령부에 헬기 비행 승인을 수차례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행 목적을 알 수 없다는 이유로 거듭 승인이 보류됐다.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가 오후 11시 31분쯤 비행을 허가하면서 헬기는 11시 48분부터 다음날 새벽 1시 18분까지 24차례 국회에 계엄군 230여 명을 실어 날랐다.
그러나 국회의원들이 한발 빨랐다. 곽종근 특전사령관, 이진우 수방사령관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0시 40~50분쯤 “문을 부수고 의원들을 끄집어내라” “왜 그걸 못 끌어내냐”는 지시를 받았지만 4일 오전 1시 1분 재석 190인, 찬성 190인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은 막지 못했다.
이 모든 증언들이 사실이라면 계엄을 “고도의 통치행위” “질서유지 목적”으로 설명한 윤 대통령의 담화와는 배치되는 셈이다. 다만 윤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는 지난 19일 “대통령은 ‘체포해라’, ‘끌어내라’ 등의 용어를 쓴 적이 없다고 들었다. 체포의 ‘체’도 꺼낸 적이 없다고 했다”며 “대통령은 출동한 군경에게 ‘절대 시민들과 충돌하지 마라’는 지시와 당부를 했다. 여기에는 국회 관계자들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