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난해 인구이동 4년 만에 늘어 628만명…주택매매 증가한 영향
-
1회 연결
본문
지난해 국내에서 거주지를 옮긴 인구 수가 4년 만에 늘었다. 주택 거래가 활발했던 영향이다.
24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4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는 628만3000명이다. 전년 대비 2.5% 늘었는데, 2020년 이후 첫 증가다. 인구 이동자는 읍ㆍ면ㆍ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바꾼(전입 신고 기준) 사람을 말한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지난해 12.3%로 1년 사이 0.3%포인트 증가했다. 역시 4년 만에 상승했다.
통계청은 인구 이동이 늘어난 이유로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가 활발했다는 점을 지목했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주택매매 거래량은 59만6655건으로 같은 기간보다 15.4% 증가했다.
보통 결혼ㆍ출산과 맞물려 집을 옮기는 사람이 많은데, 지난해 이런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지난해 출생아 수가 주민등록 인구 기준 24만2334명으로 9년 만에 늘면서, 인구 이동 증가에 한몫했다.
혼인 건수 상승도 인구 이동이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지난해 1~11월 혼인 건수는 1만858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때문에 미뤘던 혼인이 지난해 집중됐기 때문이다.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에코붐 세대(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로 1991~96년생)’가 결혼 적령기인 30대에 진입한 점도 혼인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사는 곳을 옮긴 사람이 늘긴 했지만 ‘반짝’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 전반적인 추세는 인구 이동 감소 쪽에 기울어 있다. 고령화, 교통 발달 등 영향이다. 젊은층은 진학ㆍ취직ㆍ결혼ㆍ출산 같은 이유로 이사를 자주 하는 편인데 고령층은 반대다. 원래 살던 곳에 오래 거주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또 전국적인 교통망 확충으로 통근 등을 위한 이사 수요가 이전보다 적어진 면도 인구 이동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한다. 이런 이유로 2023년 국내 인구 이동자 수는 612만9000명으로 1974년(530만 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인구 순이동(전입-전출)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지방 소멸과 수도권 집중 현상은 더 심해졌다. 지난해 수도권에 4만5000명이 순유입했다. 반면 영남권은 4만 명, 호남권은 1만8000명이 순유출했다. 주요 대학과 일자리가 몰린 수도권에 인구 유입도 집중됐다.
다만 서울에선 1990년부터 35년째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다. 지난해에만 4만5000명이 이사 나갔다(순유출). 서울의 높은 집값이 가장 큰 이유다. 상대적으로 싼 주택을 찾아 서울 바깥으로 이동한 사람이 많았다. 지난해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 가운데 61.3%가 경기에 자리 잡았다.
서울 내에서도 용산구의 순유출이 도드라졌다. 용산구의 순유출률(-4.3%)은 전국의 228개 시ㆍ군ㆍ구 중에서도 가장 심했다. 재건축ㆍ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지역이라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