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함덕해수욕장 150m 비린내 진동…검붉은 中모자반의 습격[르포]

본문

1737753675685.jpg

지난 22일 오전 제주시 함덕해수욕장의 150m 길이의 백사장에 밀려든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지난 22일 오전 11시 제주를 대표하는 해변인 함덕해수욕장. 검붉은 색의 괭생이모자반이 해변 150m 구간을 가득 메웠다. 겹겹이 쌓인 모자반은 폭이 2m가 넘는 띠를 형성하기도 했다. 중국어 간체자가 쓰인 각종 플라스틱 쓰레기와 모자반이 뒤섞여 지저분해 보이기도 했다. 해조류 특유의 비린내도 진동했다.

이날 오후 1시 제주시 삼양해수욕장 모래사장에도 모자반이 널려 있었다. 이곳은 해변을 뒤덮은 검은 모래가 유명해 최근 어싱(맨발 걷기)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해변을 맨발로 걷던 문모(42·제주시)씨는 “건강에 좋다고 해 매주 어싱을 하고 있는데 중간중간 모자반이 보여 피해 걷고 있다”며 “모자반 사이에 날카로운 쓰레기가 보여 위험해 보이니 얼른 치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올해 벌써 49t 수거

17377536758555.jpg

지난 22일 오전 제주시 삼양해수욕장 모래사장에 밀려든 괭생이모자반 사이로 맨발걷기를 하는 어싱객들. 최충일 기자

새해 첫 달부터 ‘제주바다 불청객’으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해변을 뒤덮자 제주도가 긴장하고 있다. 매년 3~6월에 집중적으로 밀려오는 모자반이 올해는 상대적으로 이른 시점에 몰려왔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올해 들어 지난 23일까지 제주시내 북부 해안에서 괭생이모자반 49t가량을 수거해 처리했고, 국립수산과학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과 모자반 유입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제주지역 괭생이모자반 수거량은 2019년 860t, 2020년 5181t, 2021년 9755t으로 매년 많이 늘어나다 2022년부터 연간 500t 수준을 보인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동중국해 기상 상황과 해류 상황에 따라 연간 괭생이모자반 수거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 해안서 해류 타고 제주까지

17377536760356.jpg

지난 22일 오전 제주시 함덕해수욕장의 150m 길이의 백사장에 밀려든 괭생이모자반과 함께 떠밀려든 플라스틱 제품. 중국어 글씨가 눈에 띈다. 최충일 기자

괭생이모자반의 주요 발생지는 ‘중국 남부 해안’으로 추정된다. 이 모자반은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 동중국 해안에서 발생해 연안 암석에 붙어살다 파도나 바람에 떨어진다. 그 후 대규모 띠 형태로 구로시오 난류를 따라 북상한다. 이게 대마난류를 타고 한국 남서부 해역과 제주도로 유입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015년 당시 유입된 개체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동중국해 연안에서 발생한 것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시기를 전후해 중국은 해양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바다숲 조성과 생태환경 복원을 위해 괭생이모자반을 대량 이식했다. 모자반이 제주 해안에 본격적으로 출현 한 시기가 2015년부터인 점도 이런 분석에 무게를 보탠다.

선박 스크루 감기고, 해안경관 해쳐 

17377536761975.jpg

2020년 제주도내 해안에서 괭생이모자반을 수거 중인 제주바다지킴이들. 최충일 기자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제주를 비롯해 전남 해역 등에 약 1~2만t 정도 유입된다. 대규모 띠 형태로 최대 5m까지 자라 이동한다. 해안 경관을 해치고 유입 초반에는 비린내가 나다가 부패 후에 더 강한 악취를 내뿜는다. 양식장 그물이나 시설물에 달라붙어 어업활동에 지장을 주며, 선박 스크루에 감겨 어업인과 배를 이용하는 관광객 안전까지 위협한다. 또 제주 토속음식인 ‘몸국’을 만드는 참모자반과 달리 삶아도 좀처럼 부드러워지지 않아 먹지 못한다.

“이른 발생 주시”…소각하거나 비료화

1737753676355.jpg

제주도가 2020년 해안에서 수거한 괭생이모자반을 밭에 거름으로 뿌리고 있다. 최충일 기자

제주도는 그간 지역 농가에 수거한 괭생이모자반을 거름용으로 나눠주는 등 처리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 산성화한 토지에 염분과 미네랄이 함유된 괭생이모자반이 녹아들어 땅을 중성화할 수 있어서다. 제주시는 2021년엔 수거한 9755t 중 대부분을 퇴비로 농가에 공급했다. 2022년부터는 수거한 모자반의 양이 많지 않아 대부분 소각 처리했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올해 괭생이모자반이 이른 시점에 발생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라며 “주민은 물론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이 쾌적한 해양환경을 즐길 수 있도록, 모자반 수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90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