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캐나다·中에 관세' 행정명령 서명…트럼프발 통상전쟁 시작됐다
-
1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1일(현지시간) “미국인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대통령으로서의 내 의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러스소셜을 통해 “오늘 나는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캐나다 에너지에는 10%)를 부과했다”며 “중국에 대해서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고 공개했다.
트럼프는 이유에 대해 “불법 이민자와 치명적인 마약, 특히 펜타닐이 우리의 시민들을 죽이는 심각한 위협 때문에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통해 시행된 조치”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접한 남부 국경뿐 아니라 캐나다 쪽 북부 국경을 통해서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이 대거 유입되고 있으며, 펜타닐 원료를 중국에서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인을 보호해야 하며, 모든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대통령으로서 내 의무”라고 했다.
트럼프는 “나는 선거 공약으로 불법 이민자와 마약이 국경을 넘는 홍수를 막겠다고 약속했으며, 미국인들은 압도적으로 이를 지지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IEEPA에 따라 캐나다·멕시코·중국에서 들어오는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북부 국경에서의 불법 마약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따르면 이들 국가에 대한 관세는 4일부터 적용된다. 원유 등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는 10%의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 행정명령에는 상대국이 미국에 보복 관세로 맞대응할 경우 관세율을 더 높여 재보복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이번 조치로 미국 내 인플레이션 심화는 물론 글로벌 통상전쟁 격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상대국들은 보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멕시코 클라우디아 정부는 “맞고만 있지 않겠다”며 일찌감치 ‘맞불 관세’ 의지를 천명했다. “멕시코 상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는 미국 소비자에게 수십억 달러어치 손해를 미치고 수백만 가구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는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장관은 이날 트럼프의 행정명령 서명에 “우리가 이길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당사국인 캐나다에서도 즉각 맞불 움직임이 터져 나왔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전날 “즉각적이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이날 서명공개 이후 “(우리는) 준비돼 있다”며 “멕시코 대통령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직후 소셜미디어 X에 “이제 캐나다는 강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고 적었다. 이어 미국 방송 출연을 예고하며 “캐나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는 미국을 해치고, 미국인들을 더 가난하게 만들 뿐이란 사실을 미국인들에게 직접 알리겠다”라고도 했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주지사는 페이스북 성명을 통해 “이 결정은 캐나다인과 미국인 모두에게 피해를 줄 것이고, 양국 간의 중요한 관계와 동맹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제는 주요 고객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정치 및 무역 관계를 전 세계로 확장해야 한다”며 “지구상 어느 나라보다 많은 천연자원을 보유한 우리나라의 경제적 잠재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도 성명을 통해 “관세는 모든 캐나다와 미국인들의 삶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모든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남쪽(미국을 지칭)과 무역할 수 없다면 우리의 교역 파트너를 다양화하고 내부의 불필요한 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가 북쪽으로, 동서로 퍼지게 하자”며 “강력하고 단합되고 경쟁력 있는 캐나다 경제는 어떤 역경이 오더라도 번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