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도 즉각 반격 "WTO제소하고 상응하는 조치할 것"
-
1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즉각 "상응하는 반격(反制)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특히 미국이 펜타닐 문제를 관세 부과 명분으로 내세운 데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벌어진 '미중 관세전쟁'이 트럼프 2기 출범 직후부터 재연되는 양상이다.
중국 상무부는 2일 발표한 담화문에서 "미국 백악관은 펜타닐 문제 등을 이유로 중국의 미국 수출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한다고 선포했다"며 "중국은 이에 강한 불만을 표하고 단호히 반대한다"고 입장을 냈다. 상무부는 "미국이 객관적·이성적으로 자국의 펜타닐 문제를 처리할 것이지, 걸핏하면 관세 수단으로 타국을 위협하지 않기를 희망한다"면서 "일방적 추가 관세는 중미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WTO(세계무역기구)에 제소할 것이고 상응한 반격(反制) 조치를 취해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이 지적한 미국 내 펜타닐은 트럼프가 관세 부과 명분으로 앞세우는 문제다. 펜타닐은 강한 중독과 유해성으로 '좀비 마약'이라 불린다. 트럼프는 선거 기간 동안 "중국이 펜타닐 원료를 공급하고 멕시코와 캐나다 국경에서 미국으로 마약이 유입되고 있다"며 해당 3국에 경고했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경고였는데 이를 실행에 옮긴 것이다.
이날 중국 관영매체들은 미국의 관세 소식을 긴급 뉴스로 타전했다. 신화통신은 "관세 조치는 국제 사회와 미국 국내에서 광범위한 반대에 직면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트럼프 1기 당시에도 양국은 서로 관세를 올리며 갈등을 빚은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대중국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해 그해 7∼8월부터 총 1000여개 품목, 500억달러(약 72조7000억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은 같은 시기 미국의 관세 부과 규모인 500억달러에 맞춰 미국산 수입품에 25%의 보복 관세로 대응했다.
그러자 미국은 재차 2000억달러(약 290조7000억원) 규모에 10% 추가 관세를 물렸고, 2019년 5월엔 관세율을 25%로 높였다. 이 관세전쟁은 트럼프 임기 마지막 해였던 2020년 1월 무역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지속됐다.
중국 입장에선 트럼프가 두 번째로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같은 양상이 펼쳐질 것을 예상할 수 있었지만 이번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있다. 트럼프가 취임 약 열흘 만에 관세 카드를 꺼낸 것은 1기때 학습 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