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화마에 탈 뻔한 한글 유물 8만9000점…“다른 곳으로 옮길 것”
-
1회 연결
본문
1일 화마에 휩싸였던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이 화재 복구 기간에 소장 유물 전체를 다른 기관 수장고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립한글박물관 강정원 관장은 2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3·4층이 화재 피해를 입어 사고 원인 감식과 구조 안전진단 등 후속조치를 할 동안 1층 수장고의 유물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 등으로 옮기기로 하고 세부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글 문헌자료 위주의 소장품 약 8만9000점이 전부 이동될 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중앙박물관 측 관계자도 이날 “우리 쪽 수장고 현황을 따져보며 수용 규모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한글박물관이 임차해 사용 중인 국립민속박물관(경복궁 내) 수장고로도 일부 유물이 옮겨갈 수 있다.
전날 오전 8시 40분쯤 한글박물관에서 큰불이 번져 약 6시간 42분 만에 진화됐다. 화재는 건물(지하 1층~지상 4층)의 3층과 4층 사이 철제계단 절단 작업 중에 불꽃이 튀면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은 지난해 10월 14일부터 교육공간 조성 및 증축 공사로 인해 휴관 중이라 이날 관람객은 없었다. 모든 소장품은 1층 수장고로 옮겨진 상태였다.
소방당국은 장비 76대와 인력 262명을 투입해 진화작업에 나섰다. 공사자재에 가로막혀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동안 기획전시실이 있는 3층을 태운 불길은 4층 옥상까지 번졌다. 그 사이 박물관 직원들은 소방대원과 함께 1층 수장고에 들어가 ‘월인석보 권9, 10’과 ‘정조 한글어찰첩’, ‘청구영언’ 등 보물 9건을 포함한 국가 지정문화유산급 26건(257점)의 중요 유물을 인근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로 대피시켰다.
불길은 오후 12시31분쯤 사실상 진압됐고 이후 잔불 처리까지 완료된 건 오후 3시 22분쯤이다. 이 과정에서 소방대원 1명이 부상을 당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2014년 개관한 국립한글박물관은 개관 10년을 맞아 1층 개보수 및 4층 공간 증축을 마치고 오는 10월 재개관할 예정이었다. 박물관 측에 따르면 조만간 경찰과 소방당국이 화재 원인 조사를 위한 현장 감식을 진행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