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노인 빈곤율 수치 '2년 연속 악화'… 10명 중 4명꼴
-
1회 연결
본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최고수준인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이 2년째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노인빈곤율)은 38.2%로 집계됐다.
가처분소득은 개인소득에서 세금 등을 빼고 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을 보탠 것으로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한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
2023년 노인빈곤율을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31.8%, 여성 43.2%로 여성이 훨씬 더 빈곤했다.
이런 노인빈곤율은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상대적 빈곤율 9.8%(남성 9.7%, 여성 10.0%)보다 월등히 높다.
특히 대체로 낮아지던 추세였던 노인 빈곤율은 최근 2년 사이 거꾸로 악화한 것이 눈에 띈다.
2013년 46.3%, 2014년 44.5%, 2015년 43.2%, 2016년 43.6%, 2017년 42.3%, 2018년 42.0%, 2019년 41.4% 등으로 40%대 중반에서 초반으로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0년 38.9%로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졌다.
2021년에는 37.6%로 2020년보다 1.3%포인트 내려가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좋아지던 노인빈곤율 수치는 2022년 들어서 38.1%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높아지며 뒷걸음질 치더니 2023년엔 38.2%로 0.1%포인트 더 나빠졌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수가 늘고, 장기 가입자도 따라 늘면서 차츰 완화하던 노인 빈곤율이 코로나19의 충격으로 저소득 노년층 일자리가 감소하는 등의 타격으로 다시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OECD 국제 비교 기준에 따르면 2020년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에 가까웠다.
한국 노인의 빈곤율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더 높다. 66∼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이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