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적대시정책 재확인"…'불량국&a…
-
1회 연결
본문
북한은 3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을 '불량국'으로 지칭한 데 대해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달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를 향해 직접적인 비난 메시지를 내놓은 것은 처음이다.
특히 북한은 루비오 장관의 발언에 외무성 대변인 명의 담화로 응수하는 식으로 의도적으로 격을 낮추기도 했다. 일종의 기싸움 성격으로, 미국이 북한에 대한 원칙론을 유지할 경우 '강대강 정면승부' 기조를 이어가며 핵무력 고도화를 계속 추구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루비오 장관의 관련 발언을 "엄중한 정치적 도발"로 규정하면서 "강력히 규탄·배격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미국의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인물의 적대적 언행은 어제나 오늘이나 달라진 것이 전혀 없는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다시 한번 확인해 준 계기가 됐다"며 "언제나와 같이 그에 상응하게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위협했다.
앞서 루비오 장관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 그리고 어느 정도 러시아를 마주하고 있고, 이란·북한과 같은 불량 국가(rogue state)를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다시 접촉하겠다고 밝히는 등 대화 의사를 보이고 있지만, 북한은 새로운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하는 등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몸값을 높이기 위한 '샅바싸움'에 나선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이번 담화는 북한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일거수일투족에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미국을 바라보는 김정은의 깊은 불신을 반영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미사일방어(MD)체계 강화 방침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도 날선 반응을 내놨다. 외무성 군축 및 평화연구소는 이날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한 공보문에서 "첨단군사장비들을 더 많이 배비하려는 미국의 책동이 보다 우심해지리라는 것은 불보듯 명백하다"며 "적대세력들의 가증되는 군사적 위협에 한계를 모르는 군사력 강화로 대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을출 교수는 "같은 맥락에서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 중단 혹은 수위 조절도 북·미 간 대화 분위기 조성에 필요한 핵심 조건으로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의 탄핵 변수도 북·미 정상회담 일정 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군에 수천 발의 로켓을 요격한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과 같은 방공 체계를 개발할 것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