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피칠갑한 채 쇠파이프 들었다…"역시 하정우" 말나온 이 영화

본문

17385528180629.jpg

영화 '브로큰'의 주인공 민태(하정우)는 자신의 추적에 걸리적거리는 대상을 쇠파이프로 제압한다. 사진 바른손이앤에이

배우 하정우(47)가 날 것의 '수컷' 연기로 돌아왔다.
영화 '브로큰'(5일 개봉)에서 그는 브레이크가 고장 난 폭주 기관차처럼 앞만 보고 질주한다. 복수를 위해 내달리며 걸리적거리는 모든 대상을 제압하는 그의 서늘한 눈빛은 '황해'(2010), '추격자'(2008) 등 강렬했던 그의 전작을 떠올리게 한다. 오랜만에 하드보일드 누아르 장르로 돌아와 물 만난 고기처럼 생동감 넘치는 액션을 선보이며 스크린을 장악해간다.

하정우가 연기한 주인공 민태는 출소 후 노동 일을 하며 살아가는 전직 조폭이다. 자신이 몸 담았던 조직에서 일하며 아내 문영(유다인)에게 폭력을 가하고 마약을 하는 동생 석태(박종환)는 그에게 유일한 피붙이이자, 아픈 손가락 같은 존재다. 어느 날 그가 끔찍한 주검으로 발견되자, 민태는 동생의 죽음의 실마리를 쥐고 사라진 문영의 행방을 쫓는다.

그 과정에서 동생의 죽음을 예고한 듯한 소설을 쓴 호령(김남길)과 엮이지만, 민태는 오로지 복수만 생각하며 복잡한 상황을 거침없이 뚫고 나간다. 신예 감독들과의 궁합이 좋은 하정우는 이번 작품에서 상업영화에 첫 데뷔한 김진황 감독과 호흡을 맞췄다.

17385528182127.jpg

영화 '브로큰'에서 분노의 추적을 이어가는 주인공 민태를 연기한 배우 하정우.사진 바른손이앤에이

지난달 말 서울 삼청동 카페에서 만난 그는 "감독이 한국영화아카데미 출신인데, 길거리에서 독학으로 영화를 배운 사람처럼 야생성이 느껴졌다. 시나리오 또한 그랬다"고 말했다.
민태는 하정우가 최근 몇 년 간 했던 캐릭터들과는 다른 결의 인물이다. 피칠갑한 채 쇠파이프를 들고 횟집에서 걸어 나오는 첫 장면부터 정제되지 않은 날 것의 에너지기 느껴진다.

하정우는 민태 캐릭터에 대해 "부글부글 끓고 분노하는 용암 같은 에너지를 가진 거친 인물"이라고 말했다. 푸석한 얼굴과 덥수룩한 수염, 추레한 복장 등 하정우는 외양부터 철저히 민태에 녹아들었다.
"코로나19 격리가 끝나가던 2022년 1월 말 촬영을 시작했는데, 몸무게가 90kg에 육박했어요. 관리를 끊은 자연인 그 자체였죠. 최근 작품들이 기능적으로 세팅된 캐릭터였는데, 이번 영화에선 꾸미지 않고 느끼는 대로 연기했습니다. 현장에서 움직여보며 콘티를 수정해간 '황해' 때와 비슷한 느낌이었죠."

'선택과 집중'을 위해 중요 인물인 호령의 분량이 뭉텅 잘려나간 건 영화의 허점으로 느껴진다. 개차반 같은 동생의 죽음에 눈이 돌아간 민태의 복수에 관객이 얼마나 공감할 지도 미지수다.

17385528183957.jpg

영화 '브로큰'의 주인공 민태(하정우)는 자신의 추적에 걸리적거리는 대상을 쇠파이프로 제압한다.사진 바른손이앤에이

1738552818551.jpg

영화 '브로큰'의 주인공 민태(하정우)는 동생을 죽인 범인을 찾기 위해 집요한 추적을 이어간다.사진 바른손이앤에이

하지만 삭막하고 비정한 하드보일드 감성과 액션은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이다. 특히 민태의 무자비한 쇠파이프 액션은 영화의 강렬한 인장으로 남을 듯 하다. '황해'에서 면가(김윤석)의 뼈다귀 액션 신을 연상케 한다.
'ㄱ'자로 꺾인 쇠파이프는 예전에 파이프를 자르는 아르바이트를 했던 김 감독이 떠올린 액션 도구다. 민태가 휘두르는 쇠파이프는 생생하면서도 처절한 타격감을 객석에 전달한다.

평소 백팩에 쇠파이프를 넣고 다니던 민태는 동생의 장례식이 끝난 뒤 벌이는 혈투 때는 종이백에서 쇠파이프를 꺼내든다. 하정우가 김 감독에게 제안한 아이디어였다고 한다. 부둣가 혈투 신에서 민태는 빳빳하게 굳은 냉동 생선을 들고 싸우는데, 이 또한 촬영 현장에서 떠올린 즉흥 아이디어였다.

"강릉 부둣가에서 리허설 하는데 냉동 생선이 냉동고에 보관돼 있었어요. 그걸 무기로 쓰자는 아이디어에 다들 반색했죠. 지느러미가 날카로워 위험했지만, 연습을 많이 한 뒤 찍었습니다. 쓰레기 더미를 그대로 이용한 골목길 액션 신 등 감독이 현장 분위기와 소품을 고스란히 담으려 애썼죠."

'하정우는 역시 누아르다' '초심으로 돌아갔다' 등의 반응에 대해선 "이런 캐릭터가 오랜만일 뿐, 초심은 늘 갖고 간다"며 "많은 분들이 이런 작품을 기다렸고, 좋아하신다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SNS에서도 멋지게 꾸민 게시물보다는 싹이 난 감자, 후줄근한 얼굴의 일상 등 이상한 사진의 반응이 훨씬 좋다"며 웃었다.

'1947 보스톤'·'비공식 작전'(2023), '하이재킹'(2024) 등 최근 하정우가 주연을 맡은 영화들의 흥행 성적은 좋지 않다. 이에 대한 고민이 깊은 듯 했다.
"'쌍천만'이 아닌 '쌍백만' 배우라는 말도 듣고, 부진의 시기를 거치며 느낀 게 많죠. 영화는 후회 없이 만들었고 그 때는 그게 정답이라 생각했지만 막상 개봉하면 그게 관객에 온전히 전달됐나, 시기가 적절했나 많은 고민을 하게 되더군요. 조만간 반등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거라 생각합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35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