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파나마에 국무장관 보내고…캐나다엔 관세로 "51번째주" 압박
-
3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 영토 확장 압박 움직임이 가열되고 있다. 파나마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보내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라고 요구했고, 25% 관세 부과를 결정한 캐나다엔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면 무관세와 안보 혜택을 주겠다는 식이다. '빈말'이 아닌 실력 행사를 통해 상대국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루비오 장관은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2일(현지시간) 파나마를 찾았다. 그는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을 만나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뜻을 전달했다. 국무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루비오 장관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통제력이 위협적이며, 영구적 중립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미국과의)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비적 결정을 파나마 측에 알렸다”며 “루비오 장관은 현 상태를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AP통신은 “루비오 장관이 ‘동맹국이라도 운하에 대한 중국 영향력을 즉시 줄이지 않으면 미국 정부의 조처를 감수해야 한다’고 경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며 파나마 운하의 통제권을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물리노 대통령은 루비오 장관과 면담 후 기자회견에서 “운하는 파나마가 운영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파나마 운하의 운영과 통제는 주권 사항으로 논의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루비오 장관과 ‘파나마 운하 인근의 항구 문제’에 대해 논의했단 사실을 공개하며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약화하는 것엔 협력할 뜻을 나타냈다.
현재 파나마 운하 양 끝에 있는 2개 항구(발보아·크리스토발)를 홍콩계 회사인 CK 허치슨 홀딩스가 운영하고 있는데, 물리노 대통령이 미국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기술적 수준의 검토 협의체’를 이날 루비오 장관에게 제의했다는 것이다.
물리노 대통령은 또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관련 협정 효력을 조기에 종료할 수 있다”며 “관련 협정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도 밝혔다. 파나마는 중남미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처음 참여한 국가이기도 하다.
파나마의 ‘코드 맞추기’ 행보에 트럼프 대통령도 발언 수위를 낮췄다. 그는 이날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소유하는 것을 막겠다”면서도 “파나마에 군대가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도 영토 편입 주장을 이어갔다. 전날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캐나다는 무한 에너지 등 우리의 막대한 지원이 없다면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없을 것”이라며 “우리의 51번째 주가 되면 캐나다 국민을 위한 훨씬 낮은 세금과 훨씬 더 나은 군사적 보호, 그리고 무(無)관세가 주어질 것”이라고 적었다.
JD 밴스 부통령도 미국이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그린란드는 미국 안보에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린란드에 사는 5만5000여명은 덴마크 정부에 만족하지 않고 있다”며 “그들은 엄청난 천연자원을 갖고 있는데 덴마크는 그들의 개발과 탐사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라면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