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尹 면회 가는 건 비겁" 아픈 말 골라하는 김재섭 왜 [who&why]

본문

17386138849757.jpg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서울 도봉갑)이 2024년 12월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히고, 당론 채택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당 지도부와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해 연일 날 선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당에 아픈 말만 골라 하는 김 의원을 두고 일각에선 “여당에 보기 드문 쓴소리맨”(초선 의원)이라고 평가하지만 “야당 의원과 다를 게 뭐냐”는 비난도 적잖다.

김 의원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3일 윤석열 대통령을 면회한 걸 두고 “임기 중엔 듣기 좋은 소리만 하다가, 대통령 구속 뒤 새삼스레 인간적 도리를 다한다는 건 비겁하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은 라디오에서 “비겁하다는 건 적절치 않은 발언”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동료 의원들이 의견을 내길 주저하는 각종 예민한 이슈에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는 권 위원장이 우파 유튜버들에게 설 선물을 보내자, 2020년 당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불교계에 육포를 선물한 것에 빗대 “실수지만 여당 선물은 그 자체가 메시지라 신중해야 했다”고 했다. 지난달 23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12·3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의원이 아닌) 요원을 빼내라고 한 것”이라고 말한 걸 두곤 “택도 없는 얘기”라고 했다. 부정선거론엔 “법률가인 윤 대통령도 아니란 걸 알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런 김 의원의 행보는 여당 지지율 상승 뒤 당 인사들이 강성 지지층을 자극하지 않고 오히려 ‘구애 모드’인 것과는 정반대다. 특히 당 요직인 조직부총장인 그가 당 지도부를 강도 높게 비판하는 것도 이례적이다.

17386138851294.jpg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2024년 12월 7일 오후 국회본회의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 투표 후 권영세, 권성동 의원 등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의원이 ‘쓴소리 맨’을 자처하는 건 그를 둘러싼 정치적 배경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김 의원의 지역구는 서울에서도 여당 험지로 통하는 도봉갑이다. 여권 관계자는 “영남 등 텃밭 지역 의원보다 김 의원은 자신의 당락을 쥔 중도 민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소장파라는 포지션이 그의 내부 비판을 불 지핀다는 해석도 있다. 김 의원은 2020년 청년정당인 ‘같이오름’ 창당준비위원장으로 정계에 발을 들였고, 이후 ‘김종인 비대위’에 발탁되는 등 당 주류와는 거리가 멀었다. 동료 의원은 “김 의원에 대한 쇄신 기대감이 크지만, 반대로 그가 주요 국면에서 머뭇거리면 남들보다 더 거센 비난의 표적이 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실제 김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해제 요구안에 찬성표를 던졌지만, 4일 뒤 탄핵 표결에 불참했다가 비난에 휩싸였다. 김 의원 측은 “지역 사무실이 달걀 세례를 받는 건 흔했고, 자택 앞에 흉기가 배달된 적도 있다”며 “최근엔 ‘야당 같다’고 반발하는 지지자도 많아 늘 긴장 상태”라고 전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연말 조직부총장을 제안받았을 때도 권 위원장과 권 원내대표에게 “앞으로도 계속 싫은 소리할 건데, 부담되지 않겠나”라고 되물었다고 한다. 김 의원은 중앙일보에 “두 분 다 ‘눈치 보지 말고 계속 비판해달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여당 관계자는 “김 의원이 일종의 ‘레드팀’으로 건전한 내부 비판을 계속해달란 입장”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48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