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 찾은 김문수 “탄핵 기각돼야…상식적인 이야기 한 것”

본문

보수 지지층을 중심으로 차기 대선 후보 1순위로 꼽히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4일 조기 대선시 출마 여부에 대해 “전혀 검토하거나 생각한 적 없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 특별법 당정 협의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현재 조기 대선이 있는지 없는지 아직 단정할 수 없다”며 “(인용시 출마는)대통령과 국민에게 예의가 아니고 제 양심에도 맞지 않는다”고 했다.

17386391974708.jpg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4일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마치고 나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간 언론 접촉을 피해온 김 장관은 이날 약 15분 넘게 취재진의 질문에 답했다. 김 장관은 여권 내 1위를 기록한 최근 여론조사에 대해 “저도 모르겠다”며 “국민이 답답하시니까 그렇게 응답하시는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상식적인 이야기를 했을 뿐이다. 고용노동부 장관으로서 통상의 일을 한 것 외에는 없지 않냐”라고도 했다. 김 장관은 설 전후로 발표된 차기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과 탄핵에 대해선 “불행한 역사”라고 했다. 그는 ‘탄핵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돼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당연히 그렇게 생각한다”며 “대통령이 계속 탄핵되고 구속되는 건 국민 누구도 원하지 않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옥중 정치’ 논란을 일으킨 윤 대통령의 여당 의원 접견에 대해선 “1심도 안 나왔는데, 유죄로 추정해서 면회도 가지 않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너무나 비인간적이고 가혹한 말씀”이라며 “면회하면 내란 동조가 되느냐”고 반문했다.

다만 김 장관은 12·3 계엄 선포에 대해 “제가 국무회의에 참석했다면 강력하게 반대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5일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정도의 어려움에 처했다”고 말해 계엄 옹호 논란을 초래한 것과 비교하면 분명히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계엄 선포를 심의한 국무회의에는 불참했고, 해제를 심의할 때만 참석했다. 김 장관은 ‘국무위원으로서 윤 대통령 면회를 갈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그런 계획이 없다”고 했다.

김 장관은 질의응답 내내 ‘상식’을 강조했다. 그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만들 때도 반대하는 집회에 참석했다가 벌금을 내기도 했다”며 “이번에 공수처 하는 것을 보면, 저는 상식적인 이야기를 했던 것”이라고 했다.

김 장관을 향한 여당 내 시선은 복합적이다. 공단 위장 취업에 나서며 노동운동을 이끌었다가 정계에 입문해 보수로 전향한 그를 두고 “스토리가 풍부한 사람”이라는 분위기도 있다. 다만 2020년 21대 총선을 앞두고 전광훈 목사와 자유통일당을 창당한 이력에 대해선 우려도 적지 않다. 영남권의 한 의원은 “계엄과 탄핵 사태서 결집한 보수층의 지지가 쏠린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은 중도와 수도권 확장성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떠도 너무 떴다…김문수를 '보수 1위' 끌어올린 결정적 순간 [여야 대선주자 분석⑨]

  • 양자대결서 이재명 앞지른 김문수, 국힘도 민주당도 "생큐" 왜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57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