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尹, 체포 지시 없었다…계엄 적법 판단"

본문

17386537120089.jpg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부 사령관이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의 계엄선포에 대해 "위헌 위법이라는 생각을 할 여지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은 4일 오후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이 열린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출석했다. 지난해 12월 31일 내란 중요임무종사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이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받고 수방사 병력을 국회로 출동시키고, 경찰 협조를 받아 현장 병력을 국회 경내 또는 국회의사당 내부로 진입시켰다는 혐의를 받는다.

이 전 사령관은 이날 윤 대통령 대리인단의 '병력 투입 지시는 계엄법에 따른 적법 지시였냐'는 질문에 "국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검찰총장까지 해서 법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아는 분이 국민을 상대로 방송을 통해서 얘기하는데 그것이 위헌·위법이라는 생각을 할 여지가 없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장관이 저에게 즉시 국회로 가라고 했을 때 이것은 작전지시로 이해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통령으로부터 누군가를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 있느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 "없다. 더 이상 답변드리지 않겠다"고 답했다. 국회에 투입된 군을 지휘하던 상황에 대해선 잘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비상계엄) 당시 밀폐된 장갑차 안에서 폰 3개를 가지고 지휘를 했다"며 "쉼 없이 전화가 오고 지시를 확인하며 작전을 해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이어 "(상세하게 말하면) 위증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 답변을 못 드린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계엄 선포 후 국방부 장관 주관 화상회의에 참석했느냐'는 질의에도 "네"라고 답했다. 또 '(김용현) 전 장관이 증인에게 국회로 가라고만 했느냐'고 하자 "즉시 출동하라고만 했다"고 밝혔다. 대리인단이 '구체적으로 국회 어디로 가서 어떤 임무를 수행하라는 지시는 없었죠'라고 하자 "네"라고 했다.

1738653712225.jpg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잠시 눈을 감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국회 측 질의 대부분 거부 "답변 제한"  

반면 이 전 사령관은 앞선 국회 측 질의에는 대부분 답변을 거부했다.

이 전 사령관은 계엄 당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고 나오라고 해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 끌어내라"라는 지시를 전화로 직접 들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그는 '윤 대통령으로부터 3번 전화 받은 사실이 맞나'라는 국회 측 대리인의 질문에 "답변드리기 제한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대통령이 4명씩 1명 체포라는 단어를 썼느냐' 등 윤 대통령의 지시와 관련한 대부분의 질문에 "답변드리지 않겠다"고 일관했다.

국회 측이 "가림막을 설치하면 보다 자유롭게 답할 수 있겠나"라고 제안했음에도 이 전 사령관은 "상관없다. 제 직책과 명예심을 가지고 말씀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 형사소송과 관련돼 있고 저의 검찰 조서는 동의 여부도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공소 제기된 상황에서 이 자리가 중요한 걸 알지만 말씀드리는 게 제한된다"고 반복했다.

헌재 "尹, 직접 증인 신문 못해" 

한편 이날 헌재는 윤 대통령이 직접 증인에게 심문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변론에 앞서 "재판관 평의 결과 증인 신문은 양측 대리인단만 진행하는 것으로 정했다"며 "본인(윤 대통령)이 원할 경우 신문 절차가 끝난 후 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드리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65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