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관세 부과 유예...불확실성 불씨 남은 완성차 업계 "답은 현지 생산 확대"
-
1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 시행을 하루 앞두고 한 달간 전격적으로 유예키로 하면서 기아 등 국내 완성차 업계는 한 숨 돌린 분위기다.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는 기아와 현대차그룹 부품 계열사 현대모비스와 현대트랜시스가 멕시코에서 생산 공장을 가동 중이다. 기아는 지난해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서 생산한 준중형 세단 K4 12만대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기아 K4의 미국 판매가는 약 4000만원인데 여기에 25%의 관세가 적용되면 가격이 약 1000만원 상승하게 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컸다.
기아 관계자는 “통관과 관세 부과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한 달간의 미국·멕시코 간 협의 내용에 맞춰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국 현지 공장 생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기아의 2023년 미국 생산량은 61만 대다. 기아 멕시코 공장 생산량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규모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0월 시범 가동을 시작한 조지아주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연간 30만대 규모인 HMGMA는 최대 50만 대까지 생산을 확대할 수 있다. 이 공장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 뿐 아니라 내연기관차까지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현대차와 기아뿐 아니라 고급브랜드인 제네시스까지 전 차종 생산이 가능하다. 여기에 조지아주 기아 공장(연 35만대 생산), 앨라배마주 현대차 공장(연 33만대 생산)까지 합치면 미국에서만 연간 120만대를 생산할 수 있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미국 판매량이 170만대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물량 가운데 70% 정도가 현지 조달이 가능한 셈이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현지 생산 규모를 조기에 늘리면 멕시코 관세에 따른 피해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국내 일자리 확대라는 트럼프 행정부 요구를 충족하게 된다”며 “향후 한국산 차량에 대한 추가관세 우려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 강화 뿐 아니라 공급망 재편도 염두해두고 있다. 관세 부가가 현실화 될 경우 멕시코에서 만든 차량을 캐나다, 남미, 유럽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성국 기아 기업설명(IR) 담당 전무는 지난달 24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멕시코에 수출 제재가 가해진다면 캐나다로 더 선적하든지 (멕시코 생산 물량의) 목적지를 바꿔야 할 것”이라며 “공급망관리(SCM)를 효율적으로 바꿔 (관세) 부담을 낮추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