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여인형 "조지호에 정치인 명단 구술, 위치 확인 협조 요청"

본문

17386630555613.jpg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뉴스1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정치인 체포 지시’와 연관된 핵심 증인인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4일 탄핵심판에서 자신의 형사재판이 진행중이라는 이유로 제한적 답변을 이어갔다. 그러면서도 경찰에 ‘특정 명단’ 위치 파악을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국회 측 대리인단으로부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14명의 체포 명단을 받은 사실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으나 “형사 재판에서 다투겠다”고만 답변했다.

국회 측은 헌재 재판부가 증거로 채택한 진술을 언급하며 재차 물었지만, 여 전 사령관은 “형사 재판에서 엄격하게 따져 봐야 할 상황으로 이 자리에서 증언이 어려운 것을 양해 부탁드린다”고 답변을 거부했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당일 오후 10시 30~40분 사이에 조지호 경찰청장과 통화를 했느냐’는 질문엔 “통화한 적 있다”고 답했다. ‘정치인 15명 정도를 체포할 건데 경찰에 위치 확인해달라고 요청한 적 있느냐’는 국회 측 대리인 질문에 그는 합수본 경찰 인력 지원과 더불어 “‘특정 명단 위치를 알 방법이 없으니 위치를 알려달라’는 점을 협조 요청했다”고 위치 정보를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특정 명단을 알려줬느냐’는 질문엔 “명단 구술이 있었지만 조지호 경찰청장의 기억과 제 기억이 일부 다르다. 형사재판에서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조 청장에게 두 가지를 협조 요청한 것으로 기억한다”며 “첫 번째는 법령과 작전 계획에 따라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돼야 하니 경찰 인력을 보내달라는 것, 두 번째는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파악이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 12월 4일 새벽 12시 38분쯤 부하들에게 우원식·이재명·한동훈부터 체포하라고 지시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대해선 “증거 기록을 보면 이와 전혀 반대되는 진술도 많다”고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의 통화 여부를 묻자 “홍장원씨가 제게 먼저 전화했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에게 체포 대상자들의 위치 확인을 요청했는지에 대해선 “형사재판에서 정확히 따질 부분”이라며 홍 전 차장이 언급한 내용과 관련해선 따져볼 부분이 많다는 취지로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비상계엄 선포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계엄에 대한 소신을 말하면서 언성이 올라간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국회 측이 ‘식탁을 치면서 고성이 오갔다는 진술을 구체적으로 말해달라’고 하자 “다소 고성이 오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언성이 올라간 것이지, 상식적으로 3성 장군이 장관한테 (고성을 지르고) 그렇게 하진 못한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에 대통령 지시라고 말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제가 사령관으로 누구에게 말할 때 대통령 지시라고 말한 경우는 거의 없다”고 답했다. 이어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대통령은 국군통수권자고, 굉장히 높으신 분”이라며 “장관님 말씀을 전하면 전했지 대통령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그게 밑에까지 내려가는 건 군 체계상 그런 식으로 지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방첩사령부 책임자로서 참담하고 안타까운 심정”이라며 “국군 통수권자로부터 구체적으로 부여된 명령을 따르지 않을 군인은 없다”고 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부여된 지시를 군이 어떤 마음으로, 어떤 신중한 태도로 했는지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여 전 사령관은 대통령 측이 ‘비상계엄 선포가 합법 절차였다고 생각했느냐’고 묻자, “국군 통수권자가 하는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짧은 순간에 합법, 위법 생각하다는 것 자체가 군인들에게 쉽지 않은 문제”라고 했다.

국회에 출동한 방첩사 요원들이 포승줄과 수갑을 준비한 경위에 대한 윤 대통령 대리인단의 질문에는 “수갑과 포승줄은 출동하면 들고나가는 기본 장비로, 특별한 목적을 가진 게 아니라 훈련하면서 쓰는 것”이라며 “(요원들에게) 비무장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또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오래전부터 알았다고 인정하면서도 계엄 직후 정 처장에게 노 전 사령관의 핸드폰 번호를 주며 연락해보라고 했냐는 질문에도 형사재판에서 진술하겠다고 답변했다.

노 전 사령관이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수사를 위해 설치하려 했다는 계엄사 합동수사본부 ‘제2수사단’과 관련해서는 “그 계획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65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