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곽종근 “윤, 요원 아닌 의원 끌어내라고 말해”…김용현 반박

본문

17386859865888.jpg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왼쪽)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국조특위) 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당일 “국회에서 빼내라”고 지시한 대상은 ‘의원’이 아니라 군 ‘요원’이었단 윤 대통령 측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주장을 4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반박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국회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저한테 대통령이 직접 비화폰으로 전화해 ‘아직 (계엄 해제 결의안)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2월 4일 0시20분부터 35분 사이 대통령과 김 전 장관으로부터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가 있던 것이 맞다”며 “당시 시점에는 요원들이 본관에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고 했다.

“요원을 빼내”란 지시도 계엄 해제 의결 직후 이뤄졌다고 밝혔다. 곽 전 사령관은 “요원의 경우 12월 4일 오전 1~9시에 있던 707특임단 요원을 밖으로 빼내라는 지시가 있던 것이 맞다”고 했다.

관련기사

  • 공수처, 반쪽수사 끝 “이상민 사건, 검경 재이첩”

그는 지난해 12월 6일 김병주 민주당 의원의 유튜브에서 “본회의장에 들어갔던 일부 인원이 있고 밖에 있던 인원이 있었는데, 전임 장관(김용현)으로부터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들을, ‘요원’들을 밖으로 빼내라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의원이 “국회의원들을요”라고 되묻자, 곽 전 사령관이 “네”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 측은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곽 전 사령관이 ‘의원’으로 뒤따라 입을 맞춘 것이란 취지로 주장했다. 이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유튜브에선 제가 작전 요원들을 빼내는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었는데, 김 의원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것이죠’라고 물어서, 두 가지 다 사실이 맞다는 의미로 ‘맞다’고 답한 것”이라고 했다.

17386859867404.jpg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계엄 전 자주 찾았다는 점집을 운영하는 무속인 ‘비단아씨’ 이선진씨. 전민규 기자

비상계엄을 함께 모의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계엄 전 즐겨 찾던 무속인 ‘비단아씨’ 이선진씨도 증인으로 출석했다. 한병도 민주당 의원이 “노 전 사령관이 배신자 색출을 위한 군인 명단을 제시하면서 그 점괘를 의뢰했다고 하는데 그런 적 있나”고 묻자, 이씨는 “수십 차례 올 때마다 사실 군인에 대한 사주를 많이 물어봤다. ‘나와 함께했을 때 끝까지 따라올 수 있는지’를 많이 물어봤다”고 답했다. 또 김용현 전 장관에 대해선 “노 전 사령관이 (지난해 9월) 김 전 장관 이름을 갖고 왔다”며 “제가 ‘이분은 보통 군인은 아닌 것 같다’고 했더니, 노 전 사령관이 ‘이 사람이 나중엔 장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김대경 경호처 지원본부장에게 “경호처에서 계엄 전날인 12월 2일 노씨에게 직접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들었다”고 추궁했지만, 김 본부장은 즉답을 피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계엄 당시 부하에게 군 판사 4명의 성향 파악을 지시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나승민 방첩사 신원보안실장(대령)은 “자정 무렵 (여인형) 사령관이 대령 한 명과 중령 두 명, 소령 한 명 등 4명의 인적사항을 불러줬다”며 “확인해 보니 군 판사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해 복명하지 않았다”며 “TV를 보니 국회에 계엄군이 들어가 있었고, 정상적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해 중단했다”고 했다. 4명은 ‘채 상병 사건’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의 항명 혐의 재판을 담당하던 판사들이었다고 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7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