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국종 같은 의사 키우는데…예산 9억 끊겨 수련센터 문닫는다

본문

17387436145862.jpg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이 닥터헬기로 이동하면서 환자 처치를 진행하는 모습. 뉴스1

정부 지원을 받아 중증외상 전문의를 육성해온 고려대구로병원 '중증외상 전문의 수련센터'가 예산 부족으로 문을 닫게 됐다. 정부가 강조해온 필수의료 지원과 실제 예산 투입이 엇박자를 낸 모양새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고대구로병원은 정부 지원금 중단에 따라 수련센터를 이달 28일까지만 운영하기로 했다. 2014년 국내 첫 보건복지부 지정 서울지역 외상 전문의 집중 육성사업병원으로 선정돼 센터를 세운 지 11년 만에 문을 닫는 것이다. 사실상 정부 지원을 받는 유일한 중증외상 수련기관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곳은 외상 전문의 수련에 필요한 교육 훈련비 등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아 국가장학 외상 전문의를 키워왔다. 외상 전문의는 외과·흉부외과 전문의 등이 세부 전공으로 외상외과를 선택한 뒤 2년간 추가로 수련, 세부 전문의 자격을 얻는 걸 말한다. 전문의지만 전임의로 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 수련을 이어가는 식이다.

정부는 그동안 연간 9억원가량의 예산을 센터에 지원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해마다 두 명 안팎의 외상 전문의가 탄생했다. 여기에서 배출된 누적 인력만 20여명에 달한다. 하지만 올해 정부 예산이 끊기면서 고대구로병원이 센터를 계속 끌고 가기 어려워졌다. 다만 수련센터 운영만 중단되고, 중증외상환자 진료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복지부는 당초 병원을 지원하기 위한 센터 예산을 편성했지만,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복지부가 낸 예산안이 기획재정부에서 깎였다가 국회 보건복지위를 거쳐 살아났지만, 국회 증액 심의가 이뤄지지 않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다시 전액 삭감됐다.

앞서 지난해 8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필수의료 살리기 등 의료개혁 작업에 5년간 국가 재정 10조원, 건강보험 10조원을 각각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필수의료 분야로 꼽히는 외상외과 예산 지원부터 구멍이 생긴 셈이다.

중증외상은 환자가 교통사고·추락 등으로 심각하게 다쳐 목숨이 위급한 상황이다. 그만큼 외상외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 주인공도 외상외과 전문의다.

힘들고 돈 안 되는 곳으로 여겨지는 비인기 과목이라 외상 전문의 육성은 쉽지 않다. 대한외상학회가 자율적으로 수련기관을 지정해 세부 전문의를 키우는 제도를 운영한다. 하지만 정부 지원 기관이 사라지면서 인력 수급도 한층 어려워질 거란 우려가 나온다.

대한외상학회 소속인 한 대학병원 교수는 "외상외과 세부 전문의 수련을 받으려는 지원자가 별로 많지 않은데, 정부 지원까지 끊기면 지원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면서 "안정적인 예산 지원으로 필수의료 인력 키우기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93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