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업·외교·국방부 중국 AI 딥시크 접속 차단, 기재부도 “차단 검토”
-
1회 연결
본문
정부부처와 주요 공공기관에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인 ‘딥시크 금지령’이 내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를 포함한 통상ㆍ외교ㆍ안보 분야 주요 부처는 아예 자체 인터넷망에서 딥시크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기밀 정보 유출 위험이 크다는 판단에 따라서다. 예산ㆍ기금 같은 경제 분야 주요 정보를 다루는 기획재정부도 딥시크 접속 차단을 검토 중이다.
5일 산업부는 부처 인터넷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산업ㆍ에너지ㆍ통상 관련 민감한 기밀 사항 등을 다루는 부처인 만큼 자체적인 판단을 통해 딥시크 접속을 끊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별도 지침이 있기 전까지는 딥시크 차단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외교부ㆍ국방부도 같은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막은 상태다.
기재부 역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지 검토에 들어갔다. 기재부 관계자는 “관계부처에서 딥시크 이용 시 개인 정보와 비공개 정보를 사용하지 말라는 권고가 있었다”며 “전 직원에게 권고 사항을 주지시켰으며, 차단 여부는 현재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 등 다른 경제부처에도 생성형 AI 이용에 유의하라는 ‘딥시크 주의보’가 내려졌다. 지난 4일 행정안전부ㆍ국가정보원은 각 부처에 ‘생성형 AI 보안 가이드라인’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 해당 공문은 ‘딥시크 차단’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으나, ‘생성형 AI에 민감 정보나 개인정보를 업로드하지 말고, 업무 사용에 유의하라’는 취지의 내용이 담겨있다.
앞서 원자력발전 기술을 다루는 한국수력원자력도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란 제목의 공문을 게시했다. 한수원은 기존에도 원전 관련 보안을 위해 챗GPT를 업무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왔다. 한전KPS도 딥시크 사용 금지 지침을 사내에 공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