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강달러 美, 수입 늘면서 작년 무역적자 9184억달러 사상 최대
-
1회 연결
본문
![17387759074897.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87759074897.jpg)
선적물이 가득 실린 선박이 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해역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미국 무역 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 상무부는 2024년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918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35억 달러(17%) 증가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역대 사상 최대 적자 규모다.
수출이 3조1916억 달러로 전년보다 1198억 달러(3.9%) 늘었으나, 수입이 4조1100억 달러로 2533억 달러(6.6%) 늘면서 무역수지 적자 증가의 원인이 했다.
교역 국가별로 보면 중국과의 무역에서 적자 폭이 2954억 달러로 가장 컸다.
뒤이어 유럽연합(2356억 달러), 멕시코(1718억 달러), 베트남(1235억 달러), 아일랜드(867억 달러), 독일(848억 달러), 대만(739억 달러), 일본(685억 달러) 순으로 미국의 적자 폭이 컸다. 한국은 660억 달러로 일본에 이어 9번째였다.
지난해 세계 주요 경제권의 경기가 부진했던 반면 미국은 지난해 2.8%의 강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은 기축통화국이라는 이점과 첨단 산업의 혁신과 이를 통한 전 세계 투자자금 등의 유입 등을 발판으로 무역수지 적자를 딛고 경제 성장을 이뤄냈다.
이같은 성장세는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을 늘린 도화선이 됐다. 미국 소비자들이 강한 달러화 가치를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수입품을 많이 소비하면서 수입이 늘어났다. 반면 미국 제조 기업들은 강한 달러화 가치 탓에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나마 외국인의 미국 여행이 늘고, 금융 서비스 수출이 늘어난 게 서비스 수지 개선에 도움이 됐다.
아일랜드는 비만 치료제 수출로 미국이 무역 적자를 입는 국가 중 5위로 부상했다. 아일랜드에는 세계적인 제약회사 일라이릴리의 비만치료제 '젭바운드'의 제조공장이 있다.
한편 작년 12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984억달러로 전월 대비 195억달러(24.7%) 증가했다. 적자 폭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968억달러 적자)를 웃돌았다.
수출이 2665억달러로 전월 대비 71억달러(-2.6%) 줄었고, 수입이 3649억달러로 전월 대비 124억달러(3.5%) 늘면서 무역수지 적자 증가를 초래했다.
지난달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해 관세 전쟁에 나선 게 향후 미국의 무역수지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는 한 달간 유예했지만, 대중국 관세는 4일부터 발효됐다. 중국은 이에 보복 조치를 예고한 상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