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그들 뒤에 누가 있길래…GD도 제쳤다, 신기록 쓴 5인조 아이돌

본문

17387869149964.jpg

버추얼 그룹의 인기를 견인 중인 플레이브는 자체 제작 앨범을 발매하고 콘서트를 한다. 비활동기에는 유튜브 라이브와 각종 콘텐트로 소통하는 일반적인 K팝 아이돌의 활동 공식을 따른다. [사진 각 그룹 공식 엑스]

컴백 당일 멜론 톱100 1위 및 차트 상위권에 수록곡 줄 세우기, 발매 2시간 20분 만에 멜론 앨범 스트리밍 100만 돌파.

지난 3일 세 번째 미니앨범 ‘칼리고 파트1’으로 컴백한 5인조 버추얼 아이돌 플레이브가 수립한 신기록들이다. 플레이브는 3일 오후 11시 멜론에서 앨범 타이틀곡 ‘대쉬’로 지드래곤 ‘홈 스윗 홈’, 아이브 ‘레블하트’를 제치고 깜짝 정상에 올랐다. 5일 기준으로는 4위에 안착해 상위권을 유지 중이다. 뮤직비디오는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에도 올랐다.

타이틀곡뿐 아니라 수록된 5곡 모두 멜론 차트인에 성공했다. 로맨틱한 힙합곡 ‘리즈’, 웹툰을 바탕으로 만든 ‘크로마 드리프트’, 선공개곡인 R&B 장르의 ‘아일랜드’, 가수 적재가 기타리스트로 참여한 팬송 ‘12:32(에이 투 티)’까지 전곡이 톱20위에 랭크했다. 특히 플레이브는 멜론에서 발매된 전체 앨범 중 24시간 최고 스트리밍 횟수인 1132만 9400회를 달성했다. 종전 1위는 세븐틴이 2023년 발매한 미니 10집 ‘FML’으로 기록한 972만회였다. 전체 발매 곡의 누적 스트리밍이 10억을 돌파해 멜론 ‘빌리언스 클럽’에 최단기로 입성한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1998년 데뷔한 ‘국내 1호 사이버 가수’ 아담의 형태를 발전시킨 플레이브는 버추얼IP로는 가장 성공적 행보를 보이고 있는 그룹이다. 멤버는 예준, 노아, 밤비, 은호, 하민으로 2023년 3월 데뷔했다. MBC에서 ‘기황후’ 등의 VFX(시각특수효과) 작업을 감독한 이성구 대표가 설립한 블래스트 소속이다. 앞서 이 대표는 중앙일보에 “플레이브는 언리얼 엔진(게임 기술)으로 제작해 즉각적 소통이 가능하다. 멤버들의 매력과 실력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담이라는 캐릭터 뒤에 실제 사람의 목소리가 있었던 것처럼 플레이브 뒤에도 실제 사람이 존재한다. 사람의 입모양 등 세밀한 동작까지 트래킹해서 보여주는 실시간 ‘모션 캡처’(몸에 센서를 부착시키거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 기술을 이용했다. SM엔터테인먼트의 아이-에스파(에스파 아바타 버전), 하이브 자회사 수퍼톤 소속의 버추얼 걸그룹 신디에잇처럼 AI(인공지능) 기술로 만든 가상 인물이 아니라, 실제 사람의 움직임을 토대로 캐릭터를 구현하고 실제 사람의 목소리를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팬들은 단순한 2D 이미지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각 캐릭터와 그 뒤에 있는 인간 멤버들의 매력까지 파헤치고 공감하며 환호한다. 실제 인물이 드러나지 않고 ‘캐릭터 뒤에 감춰진 존재’라는 데서 더 큰 매력과 ‘짠함’을 느끼기도 한다. 초창기 기술 발전이 미흡했을 땐 팬들이 캐릭터의 동작 인식 오류 상황을 새로운 재미 콘텐트로 받아들이고, 이를 모은 숏츠까지 만들었다. 기술력과 감성을 동시에 어필하며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멤버들 개인의 매력을 활용한 콘텐트에도 진심이다. 데뷔 이래 거의 매일 유튜브 콘텐트를 올리고 있으며, ‘무한도전’을 연출했던 제영재PD가 콘텐트 전문가로 합류한 후엔 멤버들이 펌프를 하고 게임, 토론을 하는 자체 예능을 선보이고 있다. 이에 유튜브 구독자는 88만8000명(5일 기준)에 달하며, 지난 3일 컴백 라이브는 30만명이 동시 시청했다.

멤버들은 작사, 작곡, 안무, 프로듀싱에 능력이 있어 자체 제작이 가능하다. 이번 앨범도 멤버들이 만든 록, 힙합, R&B, 발라드까지 다양한 장르로 구성됐다. 뮤직비디오는 마치 4분짜리 판타지 애니메이션 영화처럼 제작됐다.

17387869151719.jpg

지난해 데뷔한 에이팟츠(위)와 스페이즈도 최근 설날에 한복인사를 전했다. [사진 각 그룹 공식 엑스]

플레이브의 성공으로 지난해엔 사람이란 본체를 두고 활동하는 버추얼 보이그룹이 대거 데뷔했다. 새벽, 찬유, 레온, 유안, 우주 다섯 멤버로 구성된 이오닛은 SBS M ‘더 쇼’를 통해 음악방송에 데뷔했다. 이들을 제작한 버추얼 휴먼 전문기업 온마인드는 “마법학교에서 만난 다섯 소년 콘셉트”라고 설명했다. 4인조 에이팟츠는 버추얼 유튜브 솔루션을 서비스하는 기업 스콘에서 만들었다.

스페이즈는 오리지널 캐릭터인 서태일을 제외한 4명의 멤버가 웹툰의 남주인공들이다. 카카오페이지 인기 웹툰 ‘황자님께 입덕합니다’의 페르데릭, 네이버웹툰 ‘필살vs 로맨스’의 마대협이 속해 있다. ‘대위님! 이번 전쟁터는 이곳인가요?’의 니단, ‘줄라이 블루’의 도민성은 서브 남주인공 출신이다. 웹툰의 팬덤을 음악으로 이어가는 독특한 콘셉트를 내세웠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3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