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트랜스젠더, 女스포츠 금지"…美전역서 '반트럼…

본문

17388085443326.jpg

여성 운동 선수들에 둘러싸인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성전환자의 여성 스포츠 참가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해당 문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성전환자의 여성 스포츠 참여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지난달 20일 취임 당일 생물학적 남성과 여성, 두 개의 성만 인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이은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자신을 여자라고 주장하는 남성들이 여성 선수들의 승리를 빼앗았다. 이제 공립 초·중·고교와 거의 모든 대학에서 여성 운동선수에 대한 공격이 사라질 것”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양한 종목과 나이대의 여성 스포츠선수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렇게 말한 뒤 서명에 사용한 펜을 이들에게 나눠줬다. 참석자들의 박수와 환호가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조치로 세금으로 지원을 받는 모든 학교는 남자를 여성 스포츠팀에 참여시키거나 (여성) 라커룸에 침입하도록 하면 ‘타이틀9’ 위반으로 조사를 받고 연방 기금도 받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타이틀9’은 연방 기금을 받는 학교와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차별을 금지하는 규정이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성전환 학생의 여성 스포츠 참여를 금지하면 타이틀9 위반으로 간주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정명령은 성전환자의 여성 경기 참여를 내버려두면 타이틀9 위반으로 제재를 받게 된다는 내용이다. 타이틀9의 성차별 조항을 놓고 민주당 행정부와 공화당 행정부가 180도 다르게 해석한 셈이다.

“성전환자 2명이 금메달 땄다” 비판

트랜스젠더의 여성 스포츠 출전 금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레이스가 한창이던 지난해 8월 파리올림픽에 출전해 여성 복싱 66㎏급, 57㎏급에서 각각 금메달을 딴 이마네 칼리프(알제리), 린위팅(대만) 선수를 겨냥해 “미쳤다. 그들은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환했고 복싱에 출전했다”고 비판하며 “남성을 여성 스포츠에서 배제시키겠다”고 약속했다.

1738808544487.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성전환자의 여성 스포츠 참가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서명에 사용한 펜을 한 참석자에게 건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두 선수 사례를 거론하며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잔인하게 공격해 46초 만에 기권하게 만들었다. 2명의 성전환자가 금메달을 땄다”고 했다. 다만 이들이 성전환자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성별을 놓고는 논란이 있다고 CNN은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8년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 때 성전환 선수들의 입국을 불허할 방침을 시사하기도 했다.

보수 진영에서는 이번 조치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낸시 메이스 공화당 하원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은 성명을 통해 “남성은 여성과 생물학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어떤 행동이나 기업 압력, 거짓말로도 현실을 바꿀 수는 없다”고 했다. 앞서 연방 하원은 다수당인 공화당 주도로 트랜스젠더의 여성 스포츠 경기 참여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50501’ 확산…“민주주의 변화에 경악”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 독주’에 반대하는 시위가 미 전역에서 벌어졌다. 필라델피아·새크라멘토·오스틴 등 주요 도시에서는 수천 명의 시위대가 모여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몰아붙이고 있는 ▶이민자 추방 ▶DEI(다양성·공평성·포용성) 정책 폐기 ▶성전환자 권리 제한 등 정책에 항의했다.

17388085446435.jpg

5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의 테네시주 의사당 앞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들은 ‘파시즘에 맞서 싸우자(Fight Fascism)’고 쓰인 팻말을 들며 가두 행진을 벌였고, 일부는 성소수자 권익 보호를 뜻하는 무지개 무늬 깃발을 흔들었다. 이날 시위에 참가한 마가렛 윌미스는 “지난 2주 동안 진행된 민주주의의 변화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그래서 저항에 나서려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온라인에선 ‘#50501’이라는 해시태그를 타고 ‘반(反)트럼프 열기’가 퍼졌다. ‘#50501’은 50개 주에서 50건의 시위를 하루(1)에 동시다발적으로 벌이자는 의미다.

‘월권 논란’ 머스크 겨냥 “불법” 비판도

시위대는 월권 논란에 휩싸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그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에 대한 반감도 드러냈다. DOGE가 최근 재무부의 결제 시스템 접근 권한을 확보한 데 대한 우려다. 미주리주(州) 제퍼슨시의 주 의사당 계단에는 “정부효율부는 법을 어기고 있다”, “머스크가 왜 여러분의 사회보장번호(SSN·Social Security Number)를 갖고 있는가” 등이 적힌 게시물이 부착됐다고 AP는 전했다.

머스크에 대해선 민주당에서도 견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민주당 소속 마크 포칸 하원의원은 머스크와 같은 특수직 공무원의 연방정부 계약 수주를 금지하는 이른바 ‘머스크 법안’을 발의했다고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앞서 머스크를 둘러싼 이해충돌 논란에 백악관이 “그는 특수직 공무원”이라고 설명했는데, 특수직 공무원도 연방정부 공무원처럼 정부 계약을 따내지 못하게 한다는 취지다.

관련기사

  • 벌써 '트럼프 탄핵' 나왔다…"가자지구 소유는 반인륜 범죄"

  • 트럼프 “가자 인수”…중동 불지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5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