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롯데케미칼, 3년 연속 적자...위기의 석화기업들

본문

1738922334583.jpg

롯데케미칼. 사진 롯데그룹

석유화학 산업의 불황이 길어지면서 롯데케미칼이 3년 연속 적자를 냈다. 롯데케미칼과 더불어 금호석유화학, LG화학, 한화솔루션 등 국내 4대 석유화학 기업의 지난해 실적이 모두 부진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올해에도 업황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6일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매출이 20조430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4% 늘었다고 공시했다. 하지만 영업손실은 8948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157.3% 대폭 늘었다. 롯데케미칼은 2022년(7626억원), 2023년(3477억원)에도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 4조8961억원, 영업손실 2348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4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0.2%, 영업손실은 25.7% 각각 줄었다.

롯데케미칼은 그동안 에틸렌(기초 석유화학 제품 종류)을 직접 생산하는 나프타 분해 시설(NCC) 확장에 주력해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이 NCC 자급률 높이기에 나서며 공급 과잉이 심해졌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과잉 및 경기침체로 석유화학 사업 전반의 수요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17389223347265.jpg

한화솔루션 여수공장 전경. 사진 한화솔루션

국내 4대 석유화학기업의 지난해 실적도 전반적으로 좋지 못하다. 지난해 금호석유화학(2727억원)과 LG화학(9168억원)은 영업이익을 냈지만, 전년대비 각각 24%, 63.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영업손실 1213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2.5% 하락했다.

정부와 업계는 장기화하는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말 범부처 합동으로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석유화학 기업의 자발적 사업재편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골자로 하고 있다. 설비운영 효율화, 사업전환을 위한 정책자금 투입, 인수합병(M&A) 등 내용이 담겼다.

석유화학업계는 첨단소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사업구조를 개편하는 등 자구책을 펼치고 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올해는 대외환경 변화에 더욱 면밀하게 대응하며 수익성을 개선하고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및 재무건전성 확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정수 필터 RO멤브레인(역삼투압) 제조시설을 현지화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등 첨단소재 사업 투자를 늘렸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3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