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계엄날 통화'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유력…&…
-
2회 연결
본문
![17389223643243.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89223643243.jpg)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연합뉴스
박현수(54·경찰대 10기)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의 서울경찰청장 임명이 임박한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자경위)가 박 국장을 서울청장 후보자로 단독 추천한 데 따른 것이다. 박 국장이 서울청장으로 임명되면 야권에서 제기하는 ‘코드 인사’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7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시 자경위는 전날 오후 4시 30분부터 약 30분간 회의를 열고 박 국장이 서울청장으로 적합한지를 단일 안건으로 논의했다. 지난 5일 정부가 박 국장을 치안감에서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했다고 발표한 데 대한 후속 조치다. 치안정감은 경찰청장(치안총감) 바로 아래 계급으로, 국가수사본부장과 경찰청 차장, 서울·부산·경기남부·인천경찰청장, 경찰대학장 등 7개 자리가 있다.
자경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추천 안건에 대한 의견을 경찰청에 보냈다”고 설명했다. 통상 자경위는 여러 명의 후보군 중 적임자를 1명 가려내 추천하지만, 이번에는 박 국장이 단독으로 후보에 추천됐다고 한다.
자경위 논의 이후엔 경찰청장, 행정안전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서울청장을 임명한다. 그러나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경찰청장, 행정안전부 장관, 대통령이 모두 궐위 상태다. 그 때문에 이번엔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경찰청 차장)과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을 거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가 서울청장을 임명한다.
임명 여부는 이르면 이날 오후쯤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계엄 사태에 연루돼 구속기소 된 김봉식 전 서울청장이 아직 치안정감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박 국장은 승진 내정자 신분으로 서울청장 직무대행에 보임될 것으로 보인다.
![17389223646019.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89223646019.jpg)
'12·3 비상계엄 사태'에 관여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지난해 12월 20일 오후 서울 남대문경찰서에서 나와 검찰로 송치되는 모습. 뉴스1
尹 정부서 초고속 승진 가도…“치안 공백 우려 고려”
대전 출신인 박 국장은 경찰 내 대표적인 ‘정보통’으로 평가받는다. 지난 2022년 윤석열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파견 이후 2년 사이 초고속 승진 가도에 올랐다. 박 국장은 2023년 총경에서 경무관으로 승진한 뒤 대통령실 국정상황실로 파견됐고, 같은 해 9월에 치안감으로 승진해 경찰청 치안정보국장을 맡았다. 지난해 6월엔 행안부 경찰국장에 발탁됐다.
이번 인사는 탄핵으로 인사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이후 처음 단행한 경찰 고위직 인사다. 정부 관계자는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에 반발해 일어났던 서울서부지법 사태나 매주 진행되는 탄핵 변론 관련 집회 등 서울 내 치안 문제가 중요한 상황에서 주요 보직 공백을 조속히 메꿔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는 이유를 들었다. 김봉식 전 청장이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지난해 12월 11일 긴급체포된 뒤부터 서울청장 자리는 두 달여간 공석이었고, 최현석 서울경찰청 생활안전차장이 직무를 대행했다.
![17389223647634.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89223647634.jpg)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해 12월 3일 밤 경찰 병력이 통제중인 국회 정문에서 국회 관계자들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계엄 당일 경찰청 경비국장과 통화…野 “수사해야” 맹공
그러나 야권은 박 국장을 두고 ‘코드 인사’라며 맹공을 펼치고 있다. 박 국장 포함 승진 내정자로 이름을 올린 경찰이 모두 윤석열 정부와의 연관성이 짙다는 이유에서다. 치안감 승진 내정자인 남제현 경무관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에서, 박종섭 경무관은 국무조정실에 파견돼 있었다. 조정래 경무관은 대통령실 경비를 담당하는 101경비단 출신이다.
박 국장이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해 12월 3일 전후 조지호 경찰청장(구속)과 이상민 행안부 장관 등과 수차례 통화한 사실도 논란이 됐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박 국장은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 10분과 35분 임정주 경찰청 경비국장과 두 차례 통화했는데, 조 청장이 임 국장을 통해서 국회 전면 통제를 지시했다고 알려진 시점이다. 이와 관련해 임 국장은 지난달 15일 국회에서 “박 국장과의 통화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야3당 위원들은 5일 성명서를 통해 “국민을 바라보지 않고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대통령 입맛에 맞는 인사를 추진했다”고 비판했다. 6일엔 “(박 국장은) 내란의 주요 종사자로 지금 수사가 들어가야 하는 사람”(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라며 공세를 가했다. 한편 행안위는 오는 18일 박 국장을 포함한 경찰 승진 내정자들을 대상으로 현안질의를 실시할 예정이다.
내란 관련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검찰 등은 아직 박 국장을 입건하거나 수사 선상에 올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