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가자 가질 것, 미국의 권한”…요르단에 주민 수용 압박

본문

17393123782913.jpg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 악수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 (현지시간)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의 회담에서 “우리는 가자지구를 가질 것이다. 가자는 다이아몬드가 될 수 있다”며 자신의 ‘가자 인수ㆍ개발 구상’을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요르단에 가자 주민 수용을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압둘라 국왕과의 정상회담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세력 하마스 간 전쟁 종결 및 전후 안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한 지난 4일 가자 구상을 공개한 이후 아랍 국가 정상과 가진 첫 대면 회담이었다.

백악관 출입 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가진 취재진과의 대화에서 가자지구를 매입할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사들일 이유가 없다”면서 “우리는 가자를 가질 것이고, 소중히 간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어떻게 가자를 가질 수 있냐”는 물음에는 “미국의 권한(Under the US authority)”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요르단이나 이집트 등 주변 국가로 이주시키고 가자를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지만, 이는 팔레스타인 자치 주권을 침하는 데다 국제사회가 지지해 온 ‘두 국가 해법’(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국가로 공존하는 방식) 취지와 어긋난다는 점에서 아랍 국가의 반발에 직면했다. 요르단도 반대 의사를 밝힌 아랍국 중 하나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가자 주민 이주 구상과 관련해 “요르단과 이집트의 일부 땅과 그 외 다른 지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르단에 가자 주민의 일부 수용을 촉구하는 발언으로 해석됐다. 이어 “우리는 요르단과 이집트에 많은 자금을 기여한다”며 “우리는 협박을 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그런 수준을 넘어서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요르단과 이집트가 자신의 제안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원조 중단’ 카드로 압박할 수 있다고 했었다. 그는 “그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원조를 보류하겠느냐”는 취재진 물음에 “안 될 이유가 없다. 원조를 보류할 수 있다”고 답했다. 미국이 한 해 요르단과 이집트에 기여하는 원조 규모(2023 회계연도 기준)는 각각 17억 달러(약 2조4700억 원), 15억 달러(약 2조1800억 원)에 달한다.

17393123784417.jpg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 도착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을 맞이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압둘라 2세 국왕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구상과 관련해 “이집트와 아랍 국가들의 계획이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자 구상이 공개됐을 때 즉각 반대했던 것에 비하면 다소 에두른 표현이었다.

이어 “모두에게 최선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문제”라며 “우리가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암에 걸리거나 매우 아픈 가자지구 아이 2000명을 최대한 신속히 요르단으로 데려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아름다운 모습(beautiful gesture)”이라고 치켜세웠다.

이날 회담에는 미국 측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마이크 월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요르단 측에서 후세인 왕세자 등이 배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93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