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관세'에 놀란 中테무, 판매자에 "美…
-
1회 연결
본문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테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미국 내 물류 배송 방식을 크게 바꾸기로 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존에 테무가 유통 전반을 책임졌던 것과 달리 각 판매 업체가 제품을 직접 미국 내 창고로 배송하도록 하는 게 골자다. 트럼프발 대중국 관세를 피하려는 고육지책인 셈이다.
![17393437469404.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93437469404.jpg)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테무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물류 배송 방식을 크게 바꾸기로 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테무가 각 판매자들이 자체적으로 미 창고로 상품을 보내는 '하프 커스터디'(half custody) 방식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존 방식은 테무가 가격 책정과 배송, 마케팅 등 유통 과정 전반을 일임해왔다. 그러나 앞으론 테무가 온라인 마켓 운영만 담당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테무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더는 테무가 대량 배송을 제공하지 않아 배송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물류 관리에 자원 투입이 어려운 소규모 판매자들은 미 시장 판매를 포기할 수 있단 관측도 있다.
아직 판매자가 상품 배송을 책임지는 이 방식이 의무화되지 않았지만, 테무는 이 방식을 적용하는 판매자들을 우선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초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이어 중국에서 수입되는 800달러(약 116만원) 이하 소액 상품에 대한 관세 면제도 적용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면세 혜택이 사라질 경우 저가 상품을 앞세운 테무나 쉬인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대다수의 제품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이에 앞서 쉬인은 중국 내 제품 공급 업체들에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옮겨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쉬인은 생산라인을 옮기는 업체에 대해 최대 30% 높은 조달 가격과 일정 주문량 보장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고 외신은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