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수심 82.8m 해저에 직립한 제22서경호 선체 모습 공개

본문

17393448860822.jpg

해수해양경찰서는 12일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제22서경호(서경호)가 직립한 상태로 수심 82.8m 지점에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해경의 사이드 스캔 소나(Side Scan Sonar·측면주사음향측심기)로 촬영한 서경호의 모습. 여수해양경찰서 제공

전남 여수 해역에서 침몰한 제22서경호(이하 서경호) 선체의 모습이 공개됐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12일 여수해양경찰서가 공개한 사진·영상에 따르면 서경호는 여수 삼산면 하백도 동쪽 해상 수심 82.8m 해저면에 직립 형태로 가라앉았다.

해경이 운용 중인 사이드 스캔 소나(Side Scan Sonar·측면 주사 음향측심기)를 활용해 구성한 모습이다.

사이드 스캔 소나는 음파를 해저 바닥에 비스듬히 향하도록 송신하고 되돌아오는 반사 음파를 수신해 해저면의 형태를 음향학적으로 영상화하는 장비다.

이 장비는 최대 운용 수심 100m, 측면 스캔 범위 최대 150m(좌우 합산 300m)다.

17393448862222.jpg

여수해경이 전남 여수 해상에서 침몰해 해저로 가라앉은 대형 트롤 어선 '제22 서경호'의 상태를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지난 10일 오후 해경 사이드스캔소나(측면주사음향측심기)장비가 탐지해 영상화한 것. 여수해경 제공

생존한 선원은 "사고 당시 선내에 3명이 있었다"고 진술하기도 해 실종자 가족들은 선내 수색, 적기 인양을 요청하고 있다.

수색 당국은 사고 발생 4일째인 이날 함선 31척, 항공기 7대를 동원해 해상 수색을 벌일 계획이었지만 기상 상태가 좋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로 107㎞, 세로 74㎞까지 넓어진 범위를 6개 구역으로 나눠 수색할 방침이다.

해군 수중 무인 탐지기(ROV)를 활용한 수중 수색도 기상이 좋아질 때까지 중단된다.

해경 관계자는 "가용 세력을 총동원해 수색에 총력을 쏟겠다"며 "실종 선원을 찾고 수습이 하루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9일 서경호 침몰 이후 당일에만 승선원 14명 중 9명이 구조·발견돼 이 가운데 5명이 숨졌다.

이후 남은 실종자 5명 수색은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6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