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2000년대생 스노보더들, 2026년 올림픽을 부탁해
-
2회 연결
본문
![17394599766385.jpg](https://ilovegangwon.com/data/file/news/17394599766385.jpg)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금메달리스트 김건희(왼쪽)와 남자 슬로프스타일 금메달을 딴 이채운이 태극기를 들고 함께 웃고 있다. [연합뉴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기점으로 한국 동계스포츠의 새 희망으로 떠오른 스노보드 종목에서 2000년대생들의 거침없이 질주하고 있다. 2006년생 이채운(19·수리고)과 2008년생 김건희(17·시흥매화고), 최가온(17·세화여고) 등이 함께 두각을 나타내면서 1년 뒤 2026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동계올림픽 메달 전망을 밝히고 있다.
다음 달 고교 2학년이 되는 김건희는 13일 중국 헤이룽장성 야부리 스키장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에서 정상에 올랐다. 이날 예정됐던 결선이 강풍으로 취소되면서 예선 1위(78점)였던 김건희에게 금메달이 돌아갔다. 2008년 7월생인 김건희는 아직 18살도 안 됐다. 태극마크는 2022년 5월 처음 달았지만, 2년 선배인 이채운만큼 두각을 나타내진 못했다. 하지만 이번에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단숨에 정상급 선수로 발돋움했다.
하프파이프는 경사진 반원통형 슬로프에서 공중 연기를 겨루는 종목이다. 결선이 예정된 이날 이른 아침부터 차디찬 강풍이 불었고, 정오를 넘어서도 바람이 잦아들지 않자 대회 조직위원회는 결선을 취소하고 예선 순위에 따라 메달 주인공을 정했다. 김건희가 금메달을 가져갔고, 예선 3위(69.75점)였던 이지오(17·양평고)가 동메달을 따냈다.
이로써 한국 스노보드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2개를 수확했다. 앞서 첫 금메달의 주인공은 이채운이었다. 경희대 입학을 앞둔 이채운은 지난 8일 스노보드 남자 슬로프스타일 결선에서 90점으로 우승했다.
이채운은 지난해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도 하프파이프와 슬로프스타일을 석권했고,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을 추가하며 세계적 강자임을 입증했다.
이채운은 “이번 대회를 통해 자신감을 많이 얻었다. 특히 내년 동계올림픽 출전을 고민했던 슬로프스타일에서 좋은 결과를 내 기쁘다”고 말했다.
김건희는 “5살 때 ‘스노보드를 타면 친구들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다’는 부모님 얘기에 스노보드에 입문했다. 중학교 2학년 때 태극마크를 처음 달았다”며 “다음 목표는 당연히 내년 동계올림픽이다. 무조건 입상을 목표로 뛰겠다”고 말했다.
한국 스노보드에는 또 한 명의 대형 유망주가 있는데, 최가온이다. 2023년 FIS 월드컵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챔피언인 그는 지난해 1월 허리를 다쳐 현재 재활과 실전을 병행한다. 이번 아시안게임에는 출전하지 않았지만, 지난주 월드컵에서 2위를 하는 등 상승세다. 김수철(48) 한국 스노보드 대표팀 감독은 “내년 동계올림픽 목표는 남녀 동반 금메달”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