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봉준호 “예민한 시기 경험한 군사독재, 자연스럽게 계층 문제 건드리게 돼”

본문

17402735762106.jpg

영화 ‘미키 17’ 내한 기자간담회에서 배우 로버트 패틴슨과 봉준호 감독(오른쪽). 뉴스1

영화를 통해 자본주의의 병폐와 계층 문제를 꾸준히 풍자해온 봉준호 감독이 인터뷰를 통해 성장기에 경험한 군사 독재가 자신의 작품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22일(현지시간) 봉 감독은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최신작 ‘미키 17’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봉 감독이 연출한 ‘미키 17’은 2054년의 미래를 배경으로 얼음으로 뒤덮인 우주 행성 개척에 투입된 복제인간의 이야기다.

주인공 미키는 임무 수행 중 죽을 때마다 첨단 기술을 통해 복제 인간으로 되살아나 다시 일터로 투입된다.

무한히 대체 가능한 주인공과 같은 복제인간은 사회 하층인 노동자들로부터도 무시당하는 가장 낮은 계층이다.

주인공은 처음에는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 어리숙한 모습을 보이지만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마음속에 계급의식이 싹튼다.

이에 대해 봉 감독은 “주인공은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존재로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되새길 기회를 얻게 된다”며 “그런 점에서 보면 이 영화는 성장 영화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봉 감독은 “군사 독재 정권에서는 계층간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진다”며 “난 가장 예민한 시기에 그런 환경을 겪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런 문제의식이 내면화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집권할 당시 초등학생이었고, 퇴진 당시 연세대에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지금까지 봉 감독은 ‘설국열차’(2013), ‘기생충’(2019) 등을 통해 사회 계층 문제를 다뤄왔다.

그는 기생충을 예로 들면서 “‘왜 저 사람은 저런 식으로 행동할까’라는 질문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계층 문제를 건드리게 된다”며 “난 항상 개인과 그들이 속한 환경에 관심을 둔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노트북을 열고 시나리오를 쓰려고 할 때마다 머리에 시위용 두건을 두르는 것은 아니다”라고 웃었다.

17402735763622.jpg

영화 ‘미키 17’ 스틸. 사진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봉 감독은 영국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의 대가로 꼽히는 마이크 리와 켄 로치 감독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특히 마이크 리 감독의 1990년대 작품 ‘네이키드’와 ‘비밀과 거짓말’을 언급하면서 “노동계급 인물들을 현실감 있게 그려내 감탄스러웠다”고 말했다.

봉 감독은 “나도 그분들처럼 되고 싶지만 솔직히 요즘은 낮잠 잘 생각부터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28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