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신한 이어 KB도 예금금리 2%대로…예대금리차는 계속 커져

본문

17403587863726.jpg

주요 은행 정기예금의 금리가 2%대로 속속 내려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주요 은행 ATM이 모여 있는 모습. 뉴스1

5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빠르게 낮아지면서 3%대(1년만기 기준) 정기예금이 속속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3.00%다.

반면 가산금리를 포함한 대출금리는 가계대출 관리 등의 명분으로 시장금리 하락 폭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다. 결국 예대 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벌어지면서 은행 이익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KB국민은행은 24일부터 대표 수신(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만기 1년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추기로 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이 상품의 최고금리가 2%대였던 마지막 시점은 2022년 7월 10일이었다. 이후 3%대로 올라섰다가 약 2년 7개월 만에 다시 2%대로 내려왔다.

신한은행 역시 지난 20일 대표 수신 상품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0.05%p(포인트) 인하했다.

다른 은행들도 줄줄이 '시장금리 반영'을 내세워 예금 금리를 내리고 있다.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p 낮췄고, 하나은행도 14일 '하나의 정기예금'·'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정기예금' 등 3개 상품의 12∼60개월 만기 기본 금리를 0.20%p씩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3일 기준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1년만기 기준)는 연 2.95∼3.30% 수준이다.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2.95%)이 지난 20일 2%대로 가장 먼저 내려왔고, 이날 KB국민은행의 'KB스타 정기예금'도 2%대에 진입했다.

2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75%로 0.25%p 낮추면, 나머지 3개 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금리도 이르면 이번 주나 다음 주 안에 대부분 2%대로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반면 대출금리의 경우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내림세가 더딘 편이다. 빌리는 사람에 따라서는 내리지 않거나 소폭 오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예대금리차는 4개월 연속 확대되고 있다. 예금 금리 하락 폭이 대출 금리보다 크다는 뜻이다.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작년 12월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금리차는 1.43%p로 전월(1.41%p)보다 0.02%p 커졌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47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