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1년 넘게 사라진 이설주…“임신·건강이상 징후는 없다”

본문

17404139067312.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1월 1일 부인 이설주(왼쪽), 딸 주애(가운데)와 함께 신년경축 대공연을 관람하는 모습. [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부인 이설주가 1년 2개월 가까이 공개 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가운데 국정원이 그의 신상에 ‘이상징후’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건강 상의 이유가 있거나 위상에 변화가 감지된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이설주의 의도적 잠행은 결국 김정은의 딸 ‘주애 띄우기’의 일환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가정보원은 24일 중앙일보의 관련 질의에 “현재까지 이설주의 신상에 별다른 이상징후는 파악된 바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설주의 마지막 공개활동은 김정은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해 1월 1일 평양 5·1경기장에서 열린 ‘2024년 신년경축대공연’을 딸 주애와 함께 관람한 것이다. 국정원 정보 분석대로라면 불가피한 이유로 못 나오는 게 아니라 북한 당국이 일부러 ‘이설주 숨기기’를 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이와 관련, 해당 사안에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이날 중앙일보에 “이설주가 임신이나 출산으로 인해 공개활동을 중단한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설주가 주애 말고도 또 다른 4대 세습 후보군인 아들을 이미 낳은 데다 김정은 스스로도 자신의 어머니가 정실부인이 아니라는 점에 심한 열등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대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한 이설주의 위상을 흔들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김정은이 집권 초기부터 이설주를 각종 정상회담 등 공개활동에 동반하는 것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석연치 않게 길어지는 이설주의 공개활동 중단은 결국 주애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을 전문가들은 내놓고 있다. 이설주의 마지막 공개 활동인 지난해 1월 행사 때도 김정은의 바로 옆에 있었던 건 이설주가 아닌 주애였다. 입장할 때도 주애가 김정은의 팔짱을 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주애를 실질적으로 퍼스트레이디의 역할을 대행하는 영애(令愛)로 연출하고 있다”며 “어머니인 이설주와 함께 등장하면 유사한 외모로 인해 시선이 분산되는 것은 물론, 어린 딸로서의 이미지가 더 부각되는 점을 고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선대 지도자인 김일성 주석이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동등하거나 그들을 뛰어넘는 리더십으로 인정받길 원하는 김정은 입장에서 딸 주애는 유용한 선전수단이다. 주민들에게 자애로운 어버이의 이미지를 부각하는 한편, 주애로 대표되는 미래세대에 안정과 번영을 약속한다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거친 다혈질로 알려진 김정은을 보좌하는 데는 그의 총애를 받는 주애가 적격이라 당국이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오경섭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본적으로 후계자 시절 청년 장군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국부(國父)의 이미지를 주민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 딸 주애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며 “김정은의 심기 경호 측면에서 주애를 공개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시키는 것이란 분석도 일부 나온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597 건 - 1 페이지